|
한국어음운론, 강옥미, 태학사, 2021.
국어음운론의 기초, 임석규, 역락, 2021.
한국어학과 한국어 방언학의 문제점과 그 대안, 최명옥, 국어학회, 2016 1. 서론
2. 본론
1) 단모음, 음소의 정의
2) 표준발음법과 다른 단모음 음소 수에 관한 견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3.0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견해는 우리에게 한국어의 특성과 그 변화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결국 한국어의 단모음 체계는 그 자체로도 흥미롭지만, 그것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와 연구는 한국어의 깊은 이해와 그 안에서의 사회적, 문화적 상호작용을 볼 수 있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24.0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체계
1) 자음체계
2) 모음체계
2. 음절 구조
3. 음운규칙
1) 회피
2) 동화
3) 탈락
4) 반모음화 현상
5) 구개음화
6) 경음화
7) 음운 현상으로 잘못 알려진 것들
4. 남북한 음운의 차이
1) 남북한의 언어 차이
2) 발음의 차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학, 박영사, 1994.
이익섭 외, 한국어 언어, 신구문화사, 1997.
권성미, 한국어 발음 습득 연구 : 모음 중심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2009.
강옥미, 한국어 음운론 태학사, 2003.
이상억, 음장 및 성조, 국내 학술논문, 2000.
김 현, 발음 교육에 대한 단상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5.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 있지만 실제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이 국어의 음절 말에서 실현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음절말 미파화 규칙의 몇 가지 예로, 바뀐 자음을 그대로 적은 것이다.
부엌→부억, 밭→받, 앞→압, 옷→ Ⅰ. 서론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9.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