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음 음소를 조음 방법과 조음 위치에 따라 분류하여 국제음성기호 (IPA)로 표시하
십시요.
2. 5개 조음 위치별로 각각 다른 종성을 가진 음절을 만들어 이를 IPA로 표시하십시요.
3. 1과 2의 종성(IPA)을 비교하여 달라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0.09.1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음하는 능력이 부족해서 생기는 경우에 이들 음소 중 하나만을 집중적으로 지도하면 다른 음소들은 자동적으로 교정
가. 자음 분석에서의 변별자질 〈박재우〉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자음은 조음위치, 조음 방법, 유성/무성 등에 의해 분류
|
- 페이지 23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5.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성)’의 구조를 가지는데 중성은 필수적인 성분이고 중성에는 반드시 성절음이 된다.
④ 음절은 음성학적으로 공명도가 큰 분절음(성절음)을 중심으로 그 앞에서는 공명도가 점점 커지고 그 뒤에서는 점점 작아지는 모습을 하고 있다.
⑤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3.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음 위치별로 각각 다른 종성을 가진 음절을 만들어(예:양순음:갑,감) 이를 IPA로 표시하십시오.(예 갑[kap\'])
양순음 : 갑[kap] 갚[kap] 감[kam]
치조음 : 갇[kat] 같[kat] 갓[kat] 갔[kat] 간[kan] 갈[kall
경구개음 : 갖[kat] 갗[kat] ??
연구개음 : 각[kak]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0.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성학, 구회산
최병정·김진두, 현대영어음성학, 형설출판사, 2007 Ⅰ. 음성학의 정의
Ⅱ. 음의 분류
1. 분절음(segment)/초분절음(suprasegment)
2. 구강음(oral sound)/비강음(nasal sound)
3. 자음(consonant)/모음(vowe)/반모음(glide)
4. 공명음(sonorant)/장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