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진대비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 김소구(2000), 지진연구, 청문각
○ 김소구(1996), 지진과 재해, 기전연구사
○ 변진섭, 우리가 알아야 할 지진-한반도는 안전한가
○ 우리가 알아야 할 지진
○ 전효택 외(2001), 환경지질학, 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진 : A.I.A편저
2. 우리가 알아야 할 지진-한반도는 안전한가 : 변진섭 지음
3. 한반도와 그 주변의 Neo - Tectonic 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처>, 김소구 저
4. 기상청
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6. 서울대학교 지진공학연구센터
7. http://eqstory.skku.ac.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진 발생빈도가 낮고 발생가능 규모도 대개 작게 나타난다. 이런 이유로 흔히들 한반도를 중진 또는 중약진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판내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은 지리적 관점에서 공간적으로 산포되거나 불규칙한 경향을 보인다.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6.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려진다. 그러나 사람이 느낄 수 없는 미진이기는 하지만 매년 상당한 회수의 지진이 탐지되고 있다. 한반도에서 강력한 지진이나 화산활동이 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는 하지만 한라산에 기상관측소 하나 없다는 사실에서 우리의 재해 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8.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반도와 화산은 아무 관계가 없다고 생각하거나, 관계가 있다고 해도 기껏해야 제주도와 백두산 정도를 떠올린다. 백악기 동안 한반도에 활발한 화산활동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공룡들이 아직도 살아 있던 약9천만 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5.12.08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