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정규직 범위
임금근로자 = 경제활동인구 - 실업자 - 비임금근로자(자영업자+무급가족종사자) = 정규직 + 비정규직
1. 한시적 근로자 : '고용의 지속성'을 기준으로 분류한 비정규직이며, 근로계약기간을 정한 자 또는 정하지 않았으나 계
|
- 페이지 31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8.01.05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로자
정의 : 근로기간이 정해져 있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 (=한시적근로자)
계약직, 임시직, 촉탁직 등 근로의 명칭과 관계없이 근로계약기간이 정해져 있는 경우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2. 시간제근로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6.04.27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시적근로자]
[비정규직]┼[시간제근로자]
└[비전형근로자]┬[특수형태 근로종사자]
├[용역근로자]
├[파견근로자]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7.2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ess Firm-specific) 관련
독특성 높은 종업원 → 제휴 파트너십 유지
② 독특성 낮은 종업원 → 계약관계 형성
(2) 인적자본의 가치(Value)
전략적 가치가 높은 종업원 → 내부화(internalize) 유리
② 전략적 가치가 낮은 종업원 → 외부화(externalize) 유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8.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로자(당시 기준으로 353만명)를 비정규근로자로 평가할 것인가에 따라 비정규근로자에 대한 통계가 전혀 다르게 된다.
비정규특위는 합의에서 비정규근로자의 범위를 고용형태에 의하여 ① 한시적 근로자 또는 기간제 근로자, ② 단시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