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학” 혹은 “한어고문자학”이라 불러야 합당하겠지만, 중국에서 고문자는 고한자의 의미로, 고문자학은 고한자학의 의미로 통용되어 쓰이고 있기 때문에 “고문자학”이라 하는 것이다. 중국의 소수민족의 쓰던 고문자에 대해서는 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11.11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자학” 혹은 “한어고문자학”이라 불러야 합당하겠지만, 중국에서 고문자는 고한자의 의미로, 고문자학은 고한자학의 의미로 통용되어 쓰이고 있기 때문에 “고문자학”이라 하는 것이다. 중국의 소수민족의 쓰던 고문자에 대해서는 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11.12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자속에서의 역할에 따라 분류
독체(獨體)
육서(六書)가운데 상형자와 지사자처럼 한 글자가 한 개의 독립된 부호로 이루어짐.
독립된 부호를 편방이라 하며, 편방은 그 자체만으로 독체자가 될 수 있음.
고문자단계-독체자는 더 이상 구성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자는 글자체가 여러 가지로 변화되어 왔다. 한자는 고문자와 근대문자로 구분되는데 그 변천을 보면 다음과 같다.
古文字
甲骨文 : 은나라 때
金文 : 청동기에 새긴 문자
大篆 : 주나라 때
小篆 : 진나라 때(진시황 때의 승상이었던 李斯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4.02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자 모두 수록- 가장 상세하고 완벽한 사전
글체례- 고문헌 용례- 기존 해서체(번체자), 괄호 안에 간체자.
풀이말, 현대 백화문 용례- 간체자
부수- 214부수-> 200부수, 필획순으로 배열.
자형의 해석- 표제자는 해서체로 수록, 고문자형이 있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