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자해(合字解)에서 종성의 2자 3자 합용은 (土), (釣), 때(酉時) 등에서 등이 있음을 설명하였다. 당시 국어 문헌에 보면 종성의 합용병서는, 사이시옷을 제외하면 뿐이다.
* 참고자료 *
1)합자 : 훈민정음 체계에서 가장 큰 특징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두자음군도 글자 그대로 자음군이었으나, 당시부터 후세에 된소리화할 소지를 다분히 지니고 있었던 것들이다. 또한, 상기 28자모표의 후음(喉音) 전청의 ‘ㆆ’은 훈민정음해례 용자례(用字例)에서의 용례에서도 제외되었을 뿐만 아니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초성해중성해종성해 합자해 용자례
2. 『훈몽자회』와 한글의 명칭
3. 살펴본 문헌들
4 . 훈민정음의 보급과 활용되는 과정에 대한 자신의 생각 쓰시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0.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자해 1
초성해 3
중성해 4
종성해 4
합자해 4
용자례 5
동인지 서문 6
한글의 우수성 6
레포트를 하면서 8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I. 서론
II. 본론(훈민정음해례)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
정인지 서문
III. 결론
IV. 참고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