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종실록』에서 자신들에 대한 서술이 비판적인 것이 못마땅하였고 『현종실록』의 개정을 주장하여 개수작업에 착수하여 숙종 8년에 인쇄를 시작하여 다음해 완성하였다. 『현종실록』은 총22권이었으나 『현종개수실록』은 총28권29책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4.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현종개수실록
현종실록이 급하게 만들어져 착오·소략한 곳이 많고, 허적 등 남인(南人)이 중심이 되어 편찬되었기 때문에 1680년(숙종 6) 서인이 남인을 숙청하고 정권을 잡으면서 개수에 착수하여 1683년 3월에 완성했다. 28권·부록 합29책. 편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록》을 보관하였는데, 춘추관실록은 이괄(李适)의 난(1624)으로 모두 소실되었다. 마리산 사고의 실록은 1636년 병자호란의 피해를 입어 현종 때 보수하여 1678년(숙종 4)에 가까운 정족산(鼎足山) 사고로 옮겨졌으며, 묘향산 사고본은 1633년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현종 때 대장경을 조판한 것을 말하고 있다.
22. ③
상원사와 월정사는 강원도 오대산에 있는 명사찰이다.
23. ②
초조 대장경과 7대 실록은 몽고 침입 때 불타 없어졌다.
24. ②
설명은 고려 전기와 중기의 예술품에 대한 설명이다.
25. ⑤
최승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현종 실록을 찍기 위해 민간이 만든 낙동계자를 사들이고 부족한 글자는 다시 만든 것이 현종실록자이다. 한구자는 한구의 글씨이고, 원종자는 인조의 아버지인 원종의 글씨이다. 숙종자는 숙종의 글씨이다.
열성지상통기 -권 15, 16 1677년(숙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9.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