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31건

, 트리파노소마증, 칼라아자르 감소 3%이하 중증패혈증 악성빈혈 참고문헌 최신임상검사진단학 제2판 계축문화사 김순호 외. 호중구증가, 호산구증가, 호염구증가, 림프구증가,단구증가 호중구감소, 호산구감소, 림프구감소,단구감소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1.09.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호염구는 Romanowsky 염색약에 보라색으로 염색되는 산성의 과립을 가지고 있는 세포로서, 주머니 모양의 핵을 가지고 있다. 세포 표면에는 친화력이 높은 IgE 수용체를 가지고 있으며, 세포내의 과립에는 peroxidase, heparin, histamine등을 가지고 있는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호염구로 분류됨 무과립구는: 림프구와 단핵구로 나뉨 -정상 순환 백혈구 수는 5000~10000개 이며, 호중구는50~70%, 호산구2~4%,호염구2%이하/림프구20~40%,단핵구4~8%를 차지함 -감염시에는 많은 수의 백혈구가 순환속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혈중 백혈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호염구(Basophil), 호중구(Neutrophil), 단핵구(Monocyte)의 5종이 있으며 이들의 역활이 많은 부분 밝혀졌지만 아직 모르는 부분도 있습니다. 이러한 5종의 백혈구 중에서 알레르기성 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임파구(임파구 중에서 Th2), 호산구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호염구수의 정상범위는 0.02-0.08×109/L로 호염구증가증의 원인은 염증반응, 당뇨병, 감상선 기능저하증, 철 결핍, 종양에 의해서이다. 림프구의 경우는 정상범위가 1.5-4.0×109/L (1,500-4,000/μL)이고 총 백혈구의 약 34%를 차지한다. 림프구 증가증은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11.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