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심지가 된 양주를 중심으로 활동한 직업화가 및 문인화가들이 일군의 화파를 형성하여 이들을 양주화파라 부른다.
양주화파는 일반적으로 이선, 왕사신, 김농, 황신, 이방응, 정섭, 고상, 나빙 등 8인을 일컬어 양주팔괴라 칭한다. 이 밖에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700원
- 등록일 2012.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 화려하고 짧은 필선인 우모준이 특징이다. 구구임옥도를 보면 풍호작용으로 태호석이라는 태호지방에 가면 돌들에 구멍이 실재로 그림과 같이 많이 나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2.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론
Ⅱ. 조선후기 화단의 흐름(18세기초-19세기)
Ⅲ. 조선후기 화단의 대표작가와 작품세계
ⅰ. 담졸(淡拙) 강희언(姜熙彦)
ⅱ.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
Ⅳ. 조선후기 화단의 미술사적 의의
Ⅴ. 결론
Ⅵ. 참고 문헌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03.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60년대 화단의 과제
2. 화단의 상황
1) 서양화단의 앵포르멜 경향
2) 한국화단의 움직임
3. 한국화의 추상적 경향
1) 수묵의 조형적 특성 탐구
2) 재료와 소재의 실험
4. 결 론 - 60년대 추상경향과 한국화에서의 논쟁점들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누드화의 시작
3.우리나라 근대 미술의 누드화
4.해방후의 누드화
5.한국적 누드화
한국 근대조각의 흐름과 성격
1.한국 조각의 초기 흐름
2.일제시대의 조각
3.해방이후부터 1960년대까지의 조각
4.근대화 현대조각의 시대 구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