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성과 총포의 관계
18세기 동아시아의 총포
곡사포(전쟁기념관)
중국
17세기 초 네덜란드로부터 홍이포 도입
일본
대구경평사포가 제조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중엽
|
- 페이지 4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8.06.0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포루(砲樓),포루(鋪樓)가 있다. 각루는 성곽 가운데 주변을 조망하기에 좋은곳, 즉 성밖의 동태를 잘 감시 할 수 있는 요충지에 세워졌다. 화성에서는 네군데 요충지에 각루를 세웠는데, 특히 동북각루는 용연 바로 위 연못과 바위가 어우러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포루라 한다. 성벽이 휘어 돌아가는 모퉁이의 돌출부에 세운 누각을 각루 라 한다. 또 성문의 좌우에 배치한 치성으로 성문을 수호하기 위한 것을 적대라 한다.
7. 수원화성과 근대성
화성의 입지는 이전의 다른 도시와는 확연히 구분되는 것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라는 이 책자는 전체 640여 장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을 정리자(整理字)라는 금속활자를 사용하여 인쇄한 것이다. 단일 공사를 대상으로 하여 이를 활자화된 책자로 발간한다는 것은 오늘날에도 쉬운 일이 아니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성 축성 과정에서 철저하게 시파 만을 활용 함으로서 벽파를 배제하려는 의도를 들어내고 있다 1. 들어가며
2. 축성 동기
3. 축성 계획
4. 화산 축성
1) 행궁건립
2) 성벽
3) 성문
4) 수문
5) 장대
6) 공심돈
7) 각루
8) 포루(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1.26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