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x=x플러스마이서 a로 나왔다면 x플러스a와 x마이너스a사이에 측정값이 있을 확률이 50%가 되게 하는 a를 확률오차라고 한다.
확률오차는 여러번 측정 했을 때 제곱오차의 0.6745배, 평균오차의 0.8453배와 같다. 흔히 측정값의 정밀도를 나타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01
0.01
4
14.36
0.00
0.00
5
14.34
-0.02
0.04
6
14.35
-0.01
0.01
7
14.36
0.00
0.00
8
14.33
-0.03
0.09
9
14.35
-0.01
0.01
10
14.38
0.02
0.04
=143.6,=14.36
=0.57×10-2
1) 산술평균값(Average mean)
2) 표준편차
3) 표준오차(68.3% 신뢰도)
4) 확률오차(50% 신뢰도)
5) 추의 질량
추의 질량은 68.3 %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석에 관한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들은 손쉽게 오차해석을 할 수 있다. 같은 물리량에 대한 여러 회의 측정이 똑같은 주의를 기울여 행해졌을 때 그 물리량의 “가장 확률적인 값”은 모든 측정값의 평균값이다. 최소자승법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오차의 최적어림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된 조정된 오차(sa)로 구할 수 있다는 것만 언급해 둔다.
보통 일반통계에서 \" 평균값 ± 조정된 표준오차 \"로 써 놓은 것의 의미는 참값이 으로부터 z + sa 사이에 존재할 확률이 68.3%라는 뜻이지만 물리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4.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확률오차=0.6745(신뢰도50%)×표준편차 (단위㎜)
머리카락 0.6745×0.004=0.002689
종이 0.6745×0.021=0.0141645
만원 0.6745×0.028=0.018886
100원동전 0.6745×0.021=0.0141645
칼심 0.6745×0.007=0.0047215
5)보고값=평균값±0.6745×표준편차(신뢰도50%) (단위㎜)
머리카락 0.088±0.67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9.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