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확정청약과 불확정청약의 의의
2. 청약(Offer)의 종류
1) Firm offer(확정청약)
2) Free offer(불확정청약)
3) Conditional Offer(조건부청약)
3. 무역계약과 청약
1) 무역계약의 성립요건
2) 청약과 청약의 유인
3) 청약의 유형과 그 효력
4. 청약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약의 유인으로 간주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결국 확정청약의 경우에는 firm이나 irrevocable이란 용어와 유효기간을 명확히 기재해야 할 것이며, 불확정청약인 경우에는 Sub-con offer와 같이 승낙이 있더라도 청약자의 최종확인이 있어야만 계약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약이라고도 한다. 반대청약은 원래 청약에 대한 거절이자 동시에 새로운 청약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대청약이 이루어지면 원래의 청약은 소멸된다. 무역 거래에서는 여러 차례의 반대청약을 주고받은 후, 최종적으로 승낙이 이루어져 계약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4.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을 하였고, 10월 15일에 서신으로 확인하였다. 실제로 10월 20일에야 비로서 청약철회의 서신이 매수인에게 도착하였다. 이 사건에 대하여 법원은 청약이 승낙된 시점에서 청약의 철회가 매수인에게 도달되지 않았기 때문에 계약은 성립되었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무역계약을 문서화하여 보관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매도인이 확정청약의 전신이나 서신을 상대방에게 보내고 상대방은 승낙의 전신이나 서신을 보냄으로써 법률상 서면 계약서의 효력을 갖게 하고 가능한 자세한 계약내용이 담긴 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