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미가 담긴 목적 문학〈훈민가〉
1. 내용요약 및 부연설명
아바님 날 나시고 어마님 날 기시니 목 쥐시거든 두 손으로 바티리라.
두 분 곳 아니시면 이 몸이 사라실가 나갈 디 겨시거든 막대 들고 조리라
하 업 은덕을 어ㅣ 다혀 갑오리. 향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가>에 대한 분석
▶ 연대: 선조 13년(1580)
▶ 형식: 평시조, 연시조(16수)
▶ 성격: 훈민가(訓民歌), 교민가(敎民歌)
▶ 표현: 설의법, 청유어법(請誘語法)
▶ 주제: 유교의 윤리 권장
▶ 내용: 송나라 때 진고령(陳古靈)이 백성이 마땅히 지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가>의 보편적 의미
(1). 훈민가 본문 및 현대어 풀이
아바님 날 나시고 어마님 날 기시니,
두 분 곳 아니시면 이 몸이 사라실가.
하 업 은덕을 어 다혀 갑오리. (제1수)
아버님께서 나를 낳으시고 어머님께서 나를 기르시니
두 분이 아니었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시조가 탄생하였고, 사림파의 의식을 드러내는 데 가장 적합한 시가 형식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당대의 정치적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는 의의가 있다. 연시조는 주제 면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육가, 사시가, 어부가, 오륜가, 훈민가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가에 대해서....
이 시는 조선 선조시대 때 정철이 45세의 나이에 강원도 관찰사 재직시 강원도민을 교화하기 위해서 지은 교민가(敎民歌)이며, 청유 어법을 사용함으로써 설득력에 기인하고 있으며, 전 16수의 연시조로써 직유법과 설의법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3.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