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훈민정음 해례본』정인지서문)을 기준으로 양력 1446년 10월 9일을 ‘한글날’로 하고 있다. 김슬옹, 앞의 책, p.20 참고
등을 명기하고 있다.
4. 특이점
- 『훈민정음』해례본에는 이전 문헌과는 달리 처음으로 구두점에 해당하는 문장부호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과 <한글맞춤법>를 비교·분석할 때 다뤄볼 만한 것으로 전탁음과 경음이 있다. 해례 중 제자해에 의하면 ‘ㄲ, ㄸ, ㅃ, ㅆ, ㅉ, ㆅ’은 전탁음에 해당하는데 전탁음이란 중국의 등운학(等韻學)에서 현대 언어학에서의 유성장애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8.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해례본의 맨 끝에 붇어 있기 때문에, 이 책의 맨 앞에 있는 세종대왕의 서문과 구별하기 위하여 「鄭麟趾後書」라고도 한다.
정인지서문은 세종 28년 9월에 世宗御製序文,訓民正音本文과 함께 게재되어 있어서, 훈민정음해례본이 194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 중성체계
훈민정음 중성체계는 『훈민정음해례』의 제자해 중에서 중성해에 기록되어 있다. 중성해는 음운자질에 대한 설명과 제자순서, 상형의 내용을 중심으로 담고 있다.
중성은 초성과는 달리 특유의 음운자질을 가지고 있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에 있는데, 초성과 종성을 어우러 소리를 이룬다. 이는 역시 하늘과 땅이 만물을 생성하되 그 조절과 보충은 반드시 사람에 의한 것과 같다.>
3. 훈민정음의 초, 중, 종성 체계
훈민정음의 초, 중, 종성 체계는 ‘훈민정음해례본’에 설명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