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흘
성낼 행
상수리나무허
봉우리 헌
오랑캐이름험
부리긴개렴
오랑캐이름험
개 렴
애통해할혁
두려워하는모양 혁
범놀랄 색
빛날 혁 꾸짖을 하 쏠 석
고요할 혁
불꽃 혁 불꽃 염
봇도랑 혁 넘칠 일
팔 현
밀치끈 현 말꼬리 견
비름 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3.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흘
성낼 행
상수리나무허
봉우리 헌
오랑캐이름험
부리긴개렴
오랑캐이름험
개 렴
애통해할혁
두려워하는모양 혁
범놀랄 색
빛날 혁 꾸짖을 하 쏠 석
고요할 혁
불꽃 혁 불꽃 염
봇도랑 혁 넘칠 일
팔 현
밀치끈 현 말꼬리 견
비름 현 비름 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3.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에서는 '-지, -고, -더라, -며' 등의 자음어미 앞에서 다른 '르'로 된 말과 같이 '르'의 형태에 변화가 없지마는
(나)에서는 모음어미 '-어, -었다' 앞에서 '르'의 '으'가 탈락되고 'ㄹ'이 덧생겨 '흘ㄹ-'이 되어 있다.
'흐르-~흘ㄹ-'은 음운론적으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흘'로 읽는다. 그래서 此 은 '이흘'로 읽을 수 있으며 현대어로 풀이하자면 '이를~'이 되는 것이다. 는 훈독하여 '먹-'으로 읽고, 惡은 음차 'ㄱ'이다. 支 역시 음차로서 '기'라 읽는다. 현대어로는 '먹어'로 해석이 가능하다. 治는 훈독 '다싶-'이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6.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속일 휼
도요새 휼
새벽 흔
화끈거릴흔
기뻐할 흔
말더듬을흘
우뚝솟을흘
묶을 흘
訖
翕
僖
凞
囍
憘
戱
晞
曦
熺
이를 흘 이를 글
합할 흡
기쁠 희
빛날 희
쌍희 희
기쁠 희
희롱할 희 탄식할 호
마를 희
햇빛 희
빛날 희
지을 희 가나다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3.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