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쪽 註 3에서도 동일하게 해석하고 있다. 즉 제397조의 지연이자를 제393조 1항의 통상손해로 보고, 이를 초과하는 손해는 특별손해(제393조 2항)로서 채권자가 이를 증명하면 배상청구가 가능할 것이라고 한다.
_ 제397조는 금전채무불이행이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금전채권에 관한 특칙
제397조 [금전채무불이행에 대한 특칙] ① 금전채무불이행의 손해배상액은 법정이율에 의한다. 그러나 법령의 제한에 위반하지 아니한 약정이율이 있으면 그 이율에 의한다. ② 전항의 손해배상에 관하여는 채권자는 손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채무불이행의 의의
(2) 채무불이행의 종류
(3) 최근의 추세
(4) 채무불이행의 요건
(5) 채무불이행의 효과
2. 이행지체
(1) 이행지체의 의의
(2) 이행지체의 요건
(3) 이행지체의 효과
(4) 이행지체의 종료
(5) 금전채무에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3.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금전채무불이행의 관한 특칙을 그대로 적용하여 채무자에게 무과실의 책임을 묻는 것은 타당성을 결하게 되고 채무자에게 가혹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국가가 금전채무자에 대하여 법령으로 일정기간 그 지급연기를 인정하는 경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할 것이다.
끝으로 해제권이 발생하려면 ③의 요건, 즉 최고기간 내에 그의 책임 있는 사유로 이행이나 이행의 제공을 하지 않았어야 하는데, B의 채무는 금전채무이므로 책임 있는 사유가 문제되지 않으며, 본 사안에서는 이행의 제공까지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