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단력 선도를 그린다. 전단력이 0이 되는 지점을 구해서 표시한다.
하중
S.F.D
하중
S.F.D
3. 시험 장비
(1) STR 3 모듈 소개
① 보는 추를 걸 수 있도록 추걸이가 2cm 간격으로 되어있다.
② 보는 롤러와 힌지로 지지된다.
③ 하중 측정 센서가 부착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전단력을 구해야 한다.
단순지지 보에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하중의 크기와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보의 횡단면에 작용하는 전단력의 크기를 측정하여 고체역학에서 배운 전단력의 이해를 높인다.
2. 배경 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9.11.11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실험 두 가지를 통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론전단력은 하중은 질량9.8 로 하고 보는 강체평형상태를 이룬다고 가정)
사용한 식
: Ra(N) + Rb(N) = 측정에 사용된 하중
:Ra을 기준으로 보의 하중 거리=0 ==>Rb를 구해서 전단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단력 역시 그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② 실험 장치에서 실험오차를 발생시키는 요소들을 찾아서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방법을 검토한다.
가. 실험 시트에는 절단면과 B점 사이의 보에서 추를 매달 때 140mm를 원했지만,
실제로 140mm 지점에는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의 전단력 측정은 실험을 더욱 빨리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론무게와 실제 무게의 차이를 알고 있었고, 조원들의 실험에 대한 이해가 빨라 실험하는데 크게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또한, 다른 조와 달리 우리 조는 실험의 정확을 위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