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의 변형으로서 표시 comatic 이미지의 화살 부분이다.
상면만곡
렌즈나 거울이 빛을 모아 초점을 만드는 것은 시야의 중심에서는 어렵지 않으나, 시야의 주변부로 갈수록 어려운데 여기에는 앞서 설명한 코마수차와 비점수차의 역할과 함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면 만곡 수차
√ 상면의 만곡 : 선명한 상 또는 최상의 상이 맺는 면이 구부러져 있음을 뜻하는 수차이다.
√ 페츠발 면 : 렌즈가 정해지면 정해지는 면으로 이상적인 상면과 페츠발 면과의거리차이를 상면 만곡 수차라고 한다.
3-7. 왜곡 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2.0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용하여 상면만곡을 제거 했다면,
이 된다. 이것을 페츠발 조건이라고 한다.
⑤왜곡수차
이제까지의 수차는 모두 화상의 초점 선명도와 관계가 있지만, 왜곡은 화상의 전체적인 모양과 관련이 있다. 왜곡은 보통, 이상적인 상의 위치를 벗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8,400원
- 등록일 2015.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면만곡
* 요약 : 굴절 망원경에만 발생하는 수차는 색수차이며 아크로메틱(색지움) 계열의 렌즈를 사용해 보정한다. (넓은 의미의)구면수차는 굴절과 반사 망원경 모두에서 발생하며 전자는 역시 아크로메틱 계열의 렌즈를 사용해 보정하고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1.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이 평볼록렌즈에 대한 수차량을 나타내므로, 평볼록렌즈를 통해 구면수차를 알아보는 실험을 했던 것이다.
(2) 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평볼록렌즈는 왼쪽으로 볼록인가? 아니면 오른쪽으로 볼록인가?
◎ 답을 먼저 이야기하자면 이번 실험에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