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용향악보』
4.1. 소개
『시용향악보』는 조선 전기 궁중에서 편찬한 향악보(鄕樂譜)다. 구체적인 편찬 시기에 대해 세조~연산군 사이, 명종~선조 사이, 성종 시대 등의 견해가 있다. 이병기는 명종과 선조 때에 간행된 것으로 보았으나, 김동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용향악보
(1) 시용향악보의 소개 및 편찬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는 조선 성종∼중종 연간(1469년 ~ 1544년)에 향악의 악보를 기록한 악보집으로 시가의 사설도 함께 수록된 1권 1책의 목판본이다. 향악은 아악과는 달리 고려 이래로 전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용향악보 보여주기
2. <쌍화점>에 나타난 공간적 특성
2.1. 각 연마다 등장하는‘쌍화점, 삼장사, 우물, 술파는 집’의 해석
2.1.1. 쌍화점
2.1.2. 삼장사
2.1.3. 우물
2.1.4. 술파는 집
2.2. <쌍화점>에 나타난 공간들의 공통점
2.2.1. 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용향악보』의 16정간법에 의하면,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다/ 빛리고 가시리/잇고 나다 위/\'로 되어 \'나다\'은 시행 말미에 쓰이고 있다. 이런 점으로 보아 가시리에서 \'나다\'의 위치를 시행 말미에 놓는 것이 바른 행 구분법이 될 것이다.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는 제1련 및 곡조가 실려 있으나, 옛 문헌에서 그 제목이나 해설을 찾을 수 없어 고려 때 노래라는 확증은 없어도 그 형식이 《서경별곡(西京別曲)》 《쌍화점(雙花店)》과 유사하고, 언어 구사나 상념 ·정조가 조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9.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