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 두양사, 저자 : JOHN D. DEHAAN
3) 화재감식평가 세트(2013), 동화기술, 저자 : 한국화재감식학회 연소확대상황
1. 연소의 범위조사
2. 연소의 진행방향
3. 환기지배형 화재와 연료지배형 화재의 구분
4. 소염거리
5. 참고문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8.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행방향과 불의 확산속도에 중요한 영향
지형인자는 지표면의 모양이 언덕과 같은 구릉지 혹은 평탄지, 절벽 및 물(호수, 댐 ,강 등)의 유무나 경사도, 지세 등으로 분류한다.
* 급경사면에서는 열기류가 산허리를 따라 상승하므로 연소 확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5.17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소되었거나 강소된 면은 깊게 파고들며 탄 형상을 나타내는데, 그 쪽이 발화부의 방향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목재의 면을 수평으로 절단을 한 단면의 중심부의 형태를 비교 관찰하여 불길의 진행방향을 판단한다.
(2) 탄화심도 계침에 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찰요령
- 화재조사관은 화재현장의 소잔목재류의 소훼현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관찰요령으로 비교 조사하여 화재 당시의 확대 연소상황과 불길의 진행방향을 추정한다.
첫째, 같은 목재끼리 비교하여 관찰을 한다.
둘째, 타서 가늘어지는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복원 후에는 계측 및 소훼현상을 검토분석을 하고 사진촬영과 기록을 유지한다.
2. 복원 시 관찰기록
1) 사진촬영
(1) 발화 전의 상태파악
(2) 소잔부분과 소실부분의 구별
(3) 연소 확대 진행방향의 파악
(4) 특이한 소잔현상
(5) 용융물건
(6) 발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