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사와 갈등 양상 연구, 박이정, 2014
김진순, 민중들의 일상생활과 민요, 한국고전문학회, 2001 1. 자기 운명론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2. 신분 구조의 변동을 가져온 자본주의 문화
3. 민요에 마음을 담은 ‘한풀이’의 문화
참고문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7.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요학 7집, 한국민요학회, 민속원, 1999
김기현·권오경, 영남의 소리, 태학사, 1998
이수건, 영남사림파의 형성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1979
조동일, 경북민요, 형설출판사, 1997
하세헌, 영남 지역주의의 변화, 경북대학교
황희종, 한국민요대전, 1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요가 민중의 노래인 만큼 민중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데, 노동과 의식, 그리고 유희(놀이)와 같은 생활상의 일정한 기능을 가지면서 민중의 생활감정과 생각을 진솔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민요는 시대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반응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화과정에 대한 역사적 인식>, 한국민속학회, 1991
3.4 자진육자배기
전라도 소리조를 흔히 “육자배기토리”라고 한다. 그만큼 육자배기는 전라도 민요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노래이고, 전라도 음악의 기본이 되는 민요이다. 자진육자배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화과정
1) 연행자와 텍스트적 측면
2) 청관중/참여자와 컨텍스트적 측면
4. 띠뱃놀이 연행의 변화과정
1) 연행자와 텍스트적 측면
2) 청관중과 컨텍스트적 측면
5. 띠뱃놀이의 축제적 재구성과 의미
1) 제의에서 놀이로
2) 마을굿에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