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음이므로 현대국어에서 확고한 위치를 지니지 못하게 되었다. 이는 여러 방언에서의 /외/, /위/가 /o/, /u/ 가 아니라 /we/, /wi/로 실현되는 것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리하여 15세기 중세 국어의 모음체계는 이러한 변화 과정을 거쳐 현대국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기 중기부터 전후·고저 체계를 성립하게 되었다.
5. 결론
이상 15세기 모음체계와 그 변천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15세기의 단모음은 /ㅣ, ㅡ, ㅓ, ㅏ, ㅜ, ㅗ,·/ 의 7모음 체계이고, 이중모음은 상향이중모음과 하향이중모음이 있었으며, 15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8.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 체계는 ‘前舌 : 後舌’의 대립을 바탕으로 하는 구개적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점차 중세 국어의 시기로 접어들면서 양성의 //가 음성의 /i/ 쪽으로 접근해 가는 양상을 보임으로써, 15세기의 모음 체계는 양성의 //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8.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훈민정음이 우리말에 끼친 지대한 영향 또한 느껴볼 수 있었다.
참고자료
안병희,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1990.
이익섭, 『국어학개설』, 학연사, 2005. 1] 서론
2] 본론
1. 모음체계
2. 자음체계
3. 성조
4. 음운변화
3] 결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글자의 소리
4. 각자병서(5가지)
5. 합용병서(ㅂ계, ㅅ계, ㅄ계)
6. 비읍순경음 글자의 소리
7. 단모음체계
8. 이중모음체계
9. 종성의 표기법
10. 달라진 음운현상 (ㄹ탈락, ㅎ탈락, ㄱ탈락)
11. 중세국어의 합성법
12. 중세국어의 파생법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