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있었다. 우리가 측정 했을 때 파형이 안 나왔던 이유는 오실로스코프의 수직 제어와 peak-peak에 대해 조절을 잘 하지 못했기 때문에 결과를 얻을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음 실험을 할 때에는 커패시터의 용량을 올바르게 읽는 방법을 잘 숙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3.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결했을 때의 합
성용량은 각 콘덴서의 용량역수 총합의 역수
와 같다. 이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합성용량이 된다
- 직병렬연결(seriec parallel connection) : 그림과 같이 직렬연결과 병렬연결이 조합된 것으로 적당한 용량을 얻고자 할 때 이용한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2.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차이가 있는거 같다. 아마 그게 우리의 주된 오차의 원인이 아니었을까? 1. 실험 결과
표 19-1. 커패시터의 정격값
표19-2. 직렬 연결한 커패시터의 총 커패시턴스 결정
표19-3. 커패시터의 병렬 연결의 총 커패시턴스 결정
2. 실험 결론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결할 경우 각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학습한다.
3. 실험 준비물
- 전원공급기
- 오실로스코프
- 함수발생기
- 브레드보드
- 커패시터 (2.2nF, 47uF,)
- 저항 (200kΩ, 2kΩ,5kΩ)
- 가변직류전원
4. 실험 결과
◆ 실험1. 커패시터의 방전
① PS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커패시터와 인덕터를 직렬과 병렬로 연결해서 실험해본 결과 커패시터는 직렬일때는 저항의 병렬처럼, 병렬일 때는 저항의 직렬처럼 작용하고, 인덕터는 저항의 직병렬 연결과 같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인덕터와 커패시터는 처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2.10.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