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들어가면서
2. 중세국어 표기법
2.1. 음소적 원리
2.2. 음절적 원리
2.3. 사이시옷
2.4. 8종성법
2.5. 띄어쓰기
2.6. 병서법
2.7. 연서법
2.8. 한글과 한자의 표기
3. 근대국어표기법
3.1. 체계상의 차이
3.2. 정서법의 혼란상
4. 현대국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08. p. 20~21
원칙이라고 한다면 분명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월인천강지곡과 용비어천가만이 8종성법을 지키지 않고 있다면 원칙보다는 허용, 예외가 더 많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8종성법으로 '소리나는 대로' 쉽게 표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었다.
<한글맞춤법통일안>은 각론이 모두 65항에 달하는 세부적인 규정까지 갖춘 체계적인 규정집이었는데 받침에 'ㅋ, ㅎ, ㅅㅎ, ㄹㅎ, ㅆ' 들을 더 쓰게 한 것을 비롯하여 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8종성법에서 한글학회에서 이를 다시 살린 건 정말 잘한 일이다. 예를 들어 보자. `나뭇잎`-이것을 소리나는 대로 `나문닙`이라고 적는다고 해 보자. 그러면 도대체 말로 할 때와는 달리 무슨 말인지 알 수가 없다. 어원을 밝혀 `나무`에다가 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6.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8종성법, 음소적 표기(표면형 표기)
연음 표기 방식 : 어간이나 어근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사나 어미 조사 등이 결합하여 연음이 될 경우에는 연음 되는 대로 표기하는 방식 I. 서론
II. 규범의 변화
III. 기존의 해석과 문제점
IV. 소리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5.14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