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소 수치 추정등에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이번 실험 결과의 BOD 수치와 수질환경기준과 비교해보면 분수대 물은 3급수이며 미대앞 연못은 2급수이다. 생각보다 BOD가 낮게 나왔는데 아마도 시료채취 후 보관, 실험에서 오차가 발생한 것 같다.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5.1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BOD5 = 103.43 = 229.25 ( 1 - e-O.12*5 )
∴BOD5 = 103.43
3) 샘플 9ml 일때 (3번 식 사용)
BOD7 = 120.81 = BODU ( 1 - e-O.12*7 )
---> BODU = 204.50
BOD5 = 92.27 = 204.50 ( 1 - e-O.12*5 )
∴BOD5 = 92.27
○토의
-샘플 5ml, 7ml, 9ml 일 때 최종적인 결과 값인 BOD5값이 차례대로 123.01, 103.43, 9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따라 산소량이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모든 시료의 산소량이 같다고 할 수는 없다.
결과값을 살펴보면 결국 BOD 값이 제일 큰 B시료가 전주천 에서 채취한 시료일 가능성이 크고, C와 A는 각각 덕진 연못과 분수대로 추측해본다. 없음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14.1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결과 값이 나왔다.
이 실험을 통해 DO, BOD 측정시 적은 산소라도 값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았고 DO와 BOD간의 상호 연관성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고서를 작성하며 적정시 시료의 채취량을 티오황산염을 이용한 적정에 시료 200m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860원
- 등록일 2012.1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을 함유한 시료
2) 잔류염소를 함유한 시료
3) 용존산소 및 용존기체가 과포화로 있는 시료
4) 독물을 함유하는 시료
◎실험조작 절차
◎Flow-chart
◎DO 측정방법(윙클로아지드화변법)
분석절차
◎Flow-chart
5. 결과
6. 고찰 및 토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