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ODK(\"JO\"는 국제전기통신연맹에서 일본에 할당한 머리글자)
°1933년 출력 증강, 제 2방송(한국어방송) 실시 → 한국인 청취자 확보(청취로 수입↑, 일제의 식민지 정책 홍보)
°1935년 경성중앙방송국 개칭, 지방방송국 설립 → KBS의 전국 네트워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 이국 정취
36. 경성방송국의 호출 부호는?
1. JOAK 2. JOBK 3. JOCK 4. JODK
37. 근대과학 기술의 총아인 영화가 상업적으로 소비되는 완제품의 형태로 수입되었다는 것이 의미하는 바와 거리가 먼 것은?
1. 식민지가 글로벌 체제 안에서 주변주 소비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0.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JODK 였다(일본의 네 번째 방송국)
이중방송으로 일본어와 한국어 방송이 3:1 비율이었다.
1. 방송의 혼란기, 정비기(1945~1953)
╋━━━━━━━━━━─────────
≪ 사 진 ≫
1945. 8. 6,
제 2차 세계대전이후 8월 15일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11.1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JODK(현 KBS 전신)의 개국과 함께 상업가요는 본격적으로 발달하는데, 전수린의 ‘황성옛터’, 황금심의 ‘알뜰한 당신’, 직업가수 제1호인 채규엽의 ‘술은 눈물이냐 한숨이냐’, 이난영의 ‘목포의 눈물’, 김정구의 ‘눈물젖은 두만강’,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JODK)개국
1932년
경성방송국, 조선방송협회로 개칭. 한국어 방송
1954년
기독교 중앙방송국 설립. 라디오방송의 활성화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라디오 방송 축소
1990년
방송법 개정에 의한 민영방송의 허용
(3) 라디오의 효과
라디오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8.2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