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76.2%, 87.5%, 82.2%와 71.4%, 83.3%, 77.8%였다. 각각의 지롼에 대한 전체적 진단의 정확도는 MRCP가 60.0%, ERCP가 55.6%였다. 결론: 3D MRCP는 간외담도질환에 있어 ERCP와 비교하여 손색없는 진단적 가치를 가지며, 앞으로 ERCP를 대체할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7.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MRCP 혹은 EUS 검사를 먼저 시행하게 된다. 이는 불필요한 ERCP 시행 과정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게 여길 수 있다.
5. 담췌관 자기공명영상(MRCP)
MRCP는 비침습적 검사이며, 총담관 결석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기 때문에 점차 ERCP를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24.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MRCP(Magnetic Resonance Cholangio Pancreatography)
-자기공명췌담관조영술
* 목적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 ;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조영술)가 췌담도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최적의 표준기술로 인정되어 왔지만, ERCP는 다소 침습적이고 합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7.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MRCP(12/29)
☞Bile duct의 dilatation이 있으며 distal CBD에 뚜렷한 obstructive lesion은 관찰되지 않음. GB내에 attenuation이 증가되어 있어 sludge가 있을 것으로 생각됨. S2 duct가 focal하게 좀더 dilatation되어 있으며 뚜렷한 obstructive lesion은 관찰되지 않음
MRCP상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둘의 감별이 매우 어려운 경우가 있다.
④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magnetic resonancecholangiopancreatography, MRCP)
췌관과 담관을 비침습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만성 췌장염 환자에서 췌관의 협착과 확장 그리고 가성낭종을 매우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7.0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