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7건

종류 2) 다제내성균 종류별 특징 (1) MRSA (2) VRSA (3) VRE (4) CRE (5) MRPA (6) MRAB 3. 다제내성균 발생현황 4. 다제내성균 발생과 항생제 사용량 5. 다제내성균 항생제 내성기전 6. 항생제 신약 개발 어려운 이유 7. 마무리 8. 참고자료
  • 페이지 39페이지
  • 가격 7,000원
  • 등록일 2020.08.24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바꿔가며 반복한다. ⑩손을 헹군 뒤 잘 말린다. VRSA(vancomyc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란 무엇인가? - 현재 많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메치실린에 내성을 보이며, 이를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e resistance Staph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VRSA)이 세계 최초로 발견되었고, 1997년에는 미국과 유럽에서, 1999년에는 우리나라에서도 그 감염자가 발생하였다. 항균제 치료를 장기간 받은 환자들에게서 주로 나타났다고 한다. VRSA는 페니실린, 메티실린, 반코마이신 등 지금까지 개발된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VRSA)이다. 이 균은 현존하는 어떤 항생제도 듣지 않아 결국 패혈증을 유발, 생명을 앗아 간다. 우리나라에서도 1999년 한 예가 보고된 바 있다. 내성률은 항생제 투여 후 세균 100마리당 살아남는 세균 숫자로 높을수록 위험하다. 우리나라는 항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VRSA, VRE, MRSA, MRPA, MRAB, CRE 준비사항 병실 사용 중환자실 일반병동 MRSA 격리실 사용 또는 코호트 가능하면 일인실 또는 코호트, 안되면 원래 병실사용 VRE 전용 격리실 또는 일인실 다재내성 그람음성균 격리실 사용 또는 코호트, 불가능시 원래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