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악
- 전상치조신경 : 전치부의 순측
- 중상치조신경 : 소구치부의 협측
- 후상치조신경 : 구치부
제 1 소구치는 전상치조 +중상치조 신경.
이부분의 침윤마취로 발치가 가능
제 2 소구치는 후상치조신경과 관련 많아
조금 더 뒤쪽에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2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 하치조신경의 전내하방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으므로 하치조 신경을 위한 마취액 주입시 마취액의 확산에 의하여 마취되나, 확실히 마취하기 위해서는 하치조신경 마취후 주사침을 약 1cm정도 뒤로 빼내고 흡인 후에 다시 국소마취제를 주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차단마취 or 전달마취
구치부, 특히 하악의 대구치, 소구치에서는 협측치조골이 치밀하기 때문에 발수의 경우 침윤마취는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와 같은 증례에는 하치조신경과 협신경에 전달마취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 통상 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치조신경 및 혈관이 빠져나오는 이공 mental foramen이 있다.
하악지 ramus:하악체 양쪽 끝에서 수직으로 위쪽으로 뻗은 부분이고 하악체와 하악지의 경계부분을 하악각 mandibular angle 이라고 한다. 하악지의 끝은 측두골과 관절하여 악관절을 형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3.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치조신경 손상을 의심. 이때는 임플란트를 빨리 제거해야 함
(3) 출혈
- 지속적, 반복적인 출혈현상
: 수술부위가 골조직과 연조직으로 치유되지 않고 염증조직으로 채워지는 결과 초래
- 연조직 및 골이식의 실패, 임플란트의 골유착 실패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7.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