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DTA 착화합물법
종말점까지 사용된 0.05M EDTA 표준용액의 양 : 4.3ml
EDTA 몰수 =
와 EDTA는 1:1로 반응하므로 몰수 =
염화물 농도 :
= 0.0086M
참고문헌
분석화학, 이송주, 자유아카데미, 1999, 126-140, 211-214
기본분석화학, 박기채, 탐구당, 1997, 152-164, 240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21.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Volhard 법에서는 Cl를 과량의 기지표준 AgNO₃로 침전시킨다. AgCl이 Fe³의 존재 하로 KSCN과 반응하게 되며, Ag를 다 소비하면 SCN는 Fe³와 반응하며 붉은색을 띄면서 종말점을 알리게 될 것이다.
EDTA가 가해짐에 따라 처음에는 EDTA가 무색의 자유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21.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적정이란?
정량분석에서 부피분석을 위해 실시하는 화학분석법으로 일정한 부피의 시료용액 내에 존재하는 알고자 하는 물질의 전량을, 이것과 반응하는 데 필요한 이미 알고 있는 농도의 시약의 부피를 측정하여 그 양으로부터 알고자 하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21.04.0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에서는 벽돌색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점을 종말점으로 하며 volhard법에서는 역적정 과정에서 적색-벽돌색이 나타날 때를 종말점으로 한다. fajans법에서는 침전 색이 분홍색이 되는 지점을 종말점으로 한다. 01. 실험 제목
02. 실험 목적
03.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8.13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EDTA의 킬레이트 구조
-OOCH2C CH2-CH2 CH2COO-
\ / \ /
N N
/ \ / \
H2C M CH2
\ / \ /
O=C-O O-C=O
⇒ 꼭 게가 집게발로 금속이온을 잡고 있는 것 같은 형을 하고 있으므로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이라 부르며, EDTA와 같은 시약을 킬레이트 시약이라 한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