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의 시세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정지용 소개

2. 정지용의 시세계

3. 작품 분석
1) 고향(故鄕 )
2) 또 하나 다른 太陽
3) 백록담(白鹿潭)

4. 정지용 시의 특징
1) 고향에 대한 그리움
2) 신앙시(카톨릭시즘)
3) 바다, 산 이미지
4) 명증한 말씨와 동양적 절제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룬 하나됨의 상태는 완결한 조화로움이 아니었으며 지극히 인간적인 수척한 광경을 이룬다. 아름다운 풍경에 몰입되어 자연과의 동화를 꿈꾸며 만끽하던 자아는 눈을 돌려 자신을 바라보게 됨으로써 자연과는 전혀 다른 자신의 모습에 더욱 위축되며 슬쓸해지는 것이다. 거대한 자연에 둘러쌓인 인간의 존재는 더없이 작아 보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 나는 깨다 졸다 기도조차 잊었더니라 : 자연과 인간 외부와 내면세계의 경계에서 일시적인 자기망각을 하게 되는 자아의 모습으로 신이 내재하는 신성한 공간에서 자아도 함께 머무르고 있다는 지극히 높은 차원의 정신적인 상승감을 맛보게 된다. 대자연은 서로 구분 대립되고 갈등하는 세계가 아니라 만물이 하나로 조화된 신이 살고 있는 신비로운 세계이다. 대자연 속에서의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것은 기독교적 신성의 분위기가 아닌 지극히 동양적인 것이다.
4. 정지용 시의 특징
1) 고향에 대한 그리움
정지용 시에서 가장 지속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향수의 정감이다. 이러한 향수는 현실에 대한 조절 또는 비애로부터 강하게 유발되며,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나타난다. 그것은 기본적으로 고향과 현실 사이에 가로 놓여 있는 불연속성에 대한 인식이며, 근원적으로는 고향의 상실로서의 조국 상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정지용의 시에는 고향의 상실로서 표상되는 뿌리 깊은 비관적 현실 인식과 상실 의식이 짙게 드러나게 된다.
* 작품 : <향수(鄕愁)>, <고향(故鄕)> 등
2) 신앙시 (카톨릭시즘)
1930년대 들어 정지용은 일제에 강점되어 자유가 억압당하는 사회 현실을 반영한 시들을 창작했는데 그의 사회의식은 현실 참여 의지가 강하게 나타나 있지 않아 소극적 저항이라 평가되었으며 여기서 한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지점에서 그가 발견한 새 지평은 카톨릭의 세계였는데 이때부터 쓰여진 종교시가 중기 시세계의 특징을 대표하고 있다.
정지용의 종교시편들은 그가 <카톨릭청년>에 관계하면서 표면화된다. 정지용이 신앙시편들은 정지용의 이전 작품들과 그 성향이 상당히 다르다. 그는 그동안 끈질기게 추구한 언어의 감각화, 선명한 심상의 제시 등의 기법을 상당히 완화 시킨다. 그 대신 주나 하느님, 성모 마리아의 심상을 그것에 대체시킴으로써 작품의 상징적 기능을 확충하려고 한다. 또 형태도 매우 단순해진다.
그러나 신앙시는 단순히 정지용 개인의 신앙심을 위한 창작을 넘어서 이전에 그가 지녔던 사물시와 감각시를 극복하고, 깊이 있는 사상과 품격이 유지된 말씨를 쓰기 위한 노력으로도 볼 수 있다.
* 작품 : <나무>, <불사조>, <다른 한울>, <또 하나 다른 태양> 등
3) 바다, 산 이미지
정지용의 시에는 바다에 관한 시편들이 많이 등장한다. 바다는 주로 정지용의 초기시에 많이 나타나는데 대체로 그것은 외래적인 감수성을 드러내며 서구 지향성 또는 진보 의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바다 시편들은 방법적인 면에서 이미지즘의 원리에 기초를 두고 있다. 즉 이들은 비유에 의해서 이미지를 조형함으로써 내면 풍경을 주지적으로 제시하는 데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렇지만 후기시로 접어들면서 정지용의 시는 바다지행성으로부터 산지향성으로 시적 관심이 옮겨진다. 초기의 바다 시편들이 비유와 감각주의로 인해서 다분히 기교주의라는 비판을 벗어나기 어려웠던 데 비해서 산의 시편들은 내면 지행성 내지 정신주의를 추구함으로써 시적 깊이를 획득하게 된다. 즉 서구적 감수성 내지 외래지향성으로부터 전통지행성 내지 정신주의로의 회귀를 의미한다.
정지용이 산수시로 나아간 것은 식민지 말기의 고통스러움을 정신적 극기로 감내 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변절과 친일을 강요당하던 1930년대 말의 식민지적 압력 속에서 자신을 지키는 일은 산수에 자신을 숨기는 일이었을 것이며 동양의 고전적인 전통 속에서 자신의 시적 방법론과 은일의 정신을 체득하려 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그의 언어적 인식은 그의 시를 단순히 복고적인 취향에서 벗어나게 했으며 이러한 점에서 그의 시가 지니는 현대적 의의가 명백해진다. 정지용이 자신의 시적 천분을 조탁하여 이룩한 정묘한 산수시는 당대 최상의 수준이며 한국어가 지닌 언어적 가치를 극대화시킨 한 예가 된다. 정지용은 서구 추수주의적인 시적 유행을 넘어서서 우리의 오랜 시적 전통에 근거한 산수시의 세계를 독자적인 현대어로 개진함으로써 한국 현대시의 성숙에 결정적인 기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 작품 : <바다>, <갑판(甲板)우>, <장수산(長壽山)>, <백록담(白鹿潭)>, <구성동(九城洞)>
4) 명증한 말씨와 동양적 절제
섬세하고 감각적인 시어와 선명한 이미지. 신성한 토착어의 사용; 정지용 시의 가장 큰 특징은 시어 구사의 탁월한 감각을 지녔다는 점이다. 그는 시어를 고르고 다듬는 데 세심한 노력을 기울였다. 일상에서 흔하게 사용되지 않는 고어나 방언을 시어로 폭넓게 활용하고, 언어를 독특하게 변형시켜 자신만의 시어로 개발했다.
지성에 의한 감성을 절제; 시인의 감정이 시에 노출되는 것을 엄격히 배제한 대상묘사의 이미지즘의 시 세계를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그는 대상의 뒤에 자신을 숨기고 대상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명징한 모더니즘-이미지즘의 시 세계를 열어 보였다.
참고문헌
권정우, 『정지용의 「정지용 시집」을 읽는다』, 열림원, 2003
권영민, 『정지용 시 126편 다시읽기』, 민음사, 2004
김신정, 『정지용의 문학세계 연구』, 깊은샘, 2001
김은자, 『새미 작가론 총서6, 정지용』, 새미, 1966
이숭원, 『한국현대시인연구15, 정지용』, 문학세계사, 1996
장도준, 『정지용 시 연구』, 태학사, 1994
최동호 맹문재 외, 『다시읽는 정지용 시』, 월인 ,2003
최동호, 『정지용 사전』,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3
시인 정지용 http://www.jiyong.or.kr/
*목 차
1. 정지용 소개
2. 정지용의 시세계
3. 작품 분석
1) 고향(故鄕 )
2) 또 하나 다른 太陽
3) 백록담(白鹿潭)
4. 정지용 시의 특징
1) 고향에 대한 그리움
2) 신앙시(카톨릭시즘)
3) 바다, 산 이미지
4) 명증한 말씨와 동양적 절제
참고문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06.30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73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