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논문]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졸업논문]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노인장기요양보험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개념
2.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특성 및 기대효과
3.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주요내용
4.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선행연구

Ⅲ. 국내외 장기요양보험정책 비교분석
1. 우리나라의 장기요양보험정책
2. 외국의 장기요양보험정책

Ⅳ.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1. 재정의 안정화
2. 관리주체의 운영 합리화
3. 요양시설의 인프라 구축
4. 요양보호사 제도의 개선 및 인력관리 방안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제도의 재정 안정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전문 수발자에 대한 지원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현재 계획 중인 제도에서 비전문적 수발자에 대한 지원은 도서벽지 지역 등 요양시설이 없어 불가피하게 가족 등으로부터 수발을 받는 경우에 한해 예외적으로 지급해야 한다. 가족 등 비전문 수발자에 의한 수발은 시설서비스 수요를 대체하고 재가서비스 수요를 보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독일과 룩셈부르크에서와 같이 가족 등 비전문 수발자에 대해서도 요양급여를 지원하되 요양급여의 크기는 시설서비스나 재가서비스보다 축소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셋째, 신뢰성 있고 객관적인 요양등급 판정이다. 등급판정위원회를 구성함에 있어 재정 책임이 있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직원을 적중한 비중으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으며, 요양등급 판정 및 분류체계를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의료서비스와 요양서비스의 효과적 연계이다. 목표와 우선순위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서비스 간 조정을 위한 유효한 수단과 재정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요양인정 판정 과정에서 의사 등의 전문적 소견을 충분히 반영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시설인프라의 확충 및 실질적인 서비스 공급자 간 경쟁의 촉진이다.요양시설의 공급을 확대하고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여 지역 간 시설 공급의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 서비스 공급자 간 경쟁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각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측정하고, 이를 해당자치단체의 홈페이지에 게재하는 등의 방법으로 요양서비스 품질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용이한 접근을 확보해야 한다. 그리고 요양보호사의 자격, 요양시설의 설비 및 인력기준 등 기본적인 요양서비스의 품질 지표뿐만 아니라 욕창, 추락사고, 실금(失禁) 등의 빈도수 등으로 측정된 요양서비스의 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결과에 따라 요양급여를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미국의 경우 2002년부터 50개 주에 있는 1만 7천개 요양시설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 서비스 품질에 대한 기준이 충족되지 못할 경우 요양급여를 줄이고 있음(OECD[2005]).
마지막으로 수가체계의 개선이다. 요양서비스 수가를 노인의 건강상태와 연계시켜 요양서비스 공급자가 상대적으로 경증인 노인들만을 선택적으로 수용할 가능성을 방지해야 한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제도의 수가는 노인의 건강상태를 기준으로 3단계로 분류되는 요양등급에 따라 결정되지만 이를 더욱 세분할 필요가 있다. 요양서비스 수가를 요양서비스의 결과와 연계하여 요양서비스 공급자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유인 제공해야 한다.
새로운 제도의 시행은 많은 시행착오를 겪게 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장기요양보호정책의 발전을 위하여 장기요양시설과 인력의 확충, 대상자의 권리성과 선택성을 보장할 수 있는 선정기준의 설정, 장기요양보호서비스의 다양화와 확충, 장기요양노인의 가족수발자 지원대책, 전달체계의 통일성과 연계성의 강화, 전달체계의 지역간 불균형의 시정, 그리고 장기요양보호체계와 관련한 각종 법제화 등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때 복지선진국으로 발돋움할 것이다.
<참고문헌>
<국내문헌>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2차 시범사업 운영결과, 2007
김근홍, “노인장기요양보호를 위한 사회보험의 필요성”, 사회복지정책 18집, 2005
김미경, “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김봉순안우상(2007),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현황과 과제”, 공주영상대학 2007 논문집 제14집
김철주홍성대, “OECD국가 노인장기요양보호체계 개혁방향”, 노인복지연구 35호, 한국노인복지학회, 2007
박연희, “노인요양장기보장제도에 관한 비교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박대은, "노인수발보장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보건복지가족부, 노인장기요양보험 인프라 확충 안내, 2008
선우덕 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범사업 평가연구(2차), 정책보고서 2007-22,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신형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이명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이향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장병원(2004), “공적노인요양보장제도의 정책방향”, 2004 헬스케어 심포지엄
통계청, 2008 고령자 통계, 2008. 10
홍미령, “주요국의 노인장기요양보호제도에 관한 연구”, 경희행정논총 15권 1호, 2002
<해외문헌>
Kane, R.A. and R.L. Kane, “Long-term Care: Variations on a Quality Assurance Theme,” Inquiry25, 1988, pp.132~146.
Kane, R.L., “Outcome-based Payment: A New Beginning?” Health Progress, April 1986, pp.36~70.
Norton, Edward C., “Long-Term Care,” in A.J. Culyer and J.P. Newhouse (eds.), Handbook ofHealth Economics, North Holland, 2000, pp.955~994.
OECD, “Long-term Care for Older People,” OECD Health Project, 2005.
OECD, “OECD Economic Surveys: Korea,” 2007.
Pauly, M.V., “Almost Optimal Social Insurance for Long-term Care,” in R. Eisen and F.A. Sloan,(eds.), Long-Term Care: Economic Issues and Policy Solutions, Kluwer Academic Publishers,Boston, 1996, pp.307~329.
  • 가격3,4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9.08.07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84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