元雜劇《竇娥寃》의 悲劇的 葛藤 硏究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元雜劇《竇娥寃》의 悲劇的 葛藤 硏究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제1서론

제2장 元雜劇《竇娥寃》
제1절 元雜劇이란 무엇인가?
제2절《竇娥寃》에 대하여

제3장《竇娥寃》의 비극성
제1절 비극의 일반적 의미
(1) 비극 긍정론
제2절 두아 비극의 모태
(1) 운명적 요인
(2) 성격적 요인
제3절《竇娥寃》의 비극구조
(1) 사건의 전개
(2) 갈등의 양상
(3) 두아 비극의 완성
(4) 비극의 해결
제4절《竇娥寃》의 인물탐구
(1) 두아
(2) 채노파
(3) 장노아
(4) 도올
(5) 두천장

제4장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두아와 결혼하기 위해 독약을 탕에 넣는 음모를 꾸미고 이것이 뜻밖에 자신의 아버지를 독살하는 결과를 초래했음에도 두아를 옭아매는 수단으로 이용하는, 목적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악한의 대표적인물이다.
(4) 도올
도올은 전형적인 탐관오리이며 희극적인 각색이다. 그는 두아의 청관에 대한 믿음을 깨고 “동이를 엎어 놓은 곳에 태양빛이 비치지 않는” 두아원, 제2절
부패한 관리의 상징이다.
(5) 두천장
두아의 아버지 두천장은 두아극의 운명적 원인을 제공한 사람이면서 또한 두아의 원한을 해결해 주는 사람이다. 그는 [경전 만 권을 다 읽었으나 가련하게도 찢어지게 가난했던 사마상여 사마상여 : 자는 장경이며 사천 성도사람. 그는 젊어서 벼슬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가난하기 짝이 없었으나, 부잣집 젊은 과부인 탁문군을 유혹하여 가출케 한 덕분에 부자가 되었다. 그리고 뒤에 그의 부인 자허부가 부네의 인정을 받아 벼슬을 하기 시작하였고, 다시 무제를 위하여 상림부등을 지어 바침으로써 더욱 무제의 신임을 받아 출세하였다.
같네. 한나라 황제의 인정을 받게 되자 술장사 했던 일은 덮어두고 자허부만 떠벌였네.]라고 시를 읊으면서 자기 신세를 한탄한다. 또한 그는 제4절에서 과거에 급제한 관리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나는 너 때문에 울어서 눈이 침침해지고 걱정으로 머리마저 희어졌건만 너는 십악의 대죄를 범하여 형벌을 받나니…….네가 나의 친딸이라니 너를 다스리지 않고 어찌 다른 사람을 다스리겠느냐? 두아원, 제4절
] 라고 말함으로써 법을 공정하게 집행하려는 청관의 형상을 찾아 볼 수 있다. 결국 두천장은 탐관오리의 대표자인 도올과 대비되는 인물이면서 청관이 출현하여 윤리와 도덕이 붕괴된 사회를 바로잡아주기를 바라는 백성들의 소망을 실현시켜주는 인물이다.
제4장 결론
<두아원>은 그 비극성이 운명적 요인과 성격적 요인의 이중 형태에서 출발하였으며 이러한 요인은 주인공이 외부의 적대세력과 충동하는 과정에서 비극적으로 작용, 주인공을 비참한 죽음으로 인도하였으며, 주인공의 부당한 죽음에 대하여 현세에 적절하게 해결하지 못하고 사후에 비현실적인 방법을 통하여 해결하였는데, 그 이유가 한 개인으로는 극복할 수 없는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기인한다는 점 때문에 더욱 관중에게 비극감을 고조시켜 주었다.
<두아원> 이 작품은 그 당시의 사회 암흑상을 잘 대변하고 있다. 공부하여 출세하기 위하여 딸과 여비를 바꾸는 가난한 선비, 은혜를 팔고 악한 짓을 행하는 장려아 부자, 돈을 위하여 살인도 감행하는 노의원, 뇌물을 먹고 무고한 여인에게 살인죄를 덮어씌우는 탐관오리, 일하지 않고 고리대금업으로 살아가는 애매한 성격의 채노파 등등, 이들 하나하나가 당시 사회의 전형적인 인물구성이다. 그러기에 올바르게 살아가려는 연약한 두아는 이들 사회악 밑에 짓밟히어 죽어 가는 것이다.
작자 관한경은 호가 기재수이고 대도 사람이다. 벼슬은 태의원윤을 지냈다고도 하나 금사나 원사를 보면 태의원이라는 기관은 있으나, 원윤이라는 벼슬은 없으니, 그가 정말로 벼슬을 했는지는 단정하기 어렵다. 한노단, 희곡론, 민음사, 1994, p.98
그러나 그는 극작가였을 뿐만이 아니라 배우들과 함께 직접 잡극을 무대에 연출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그의 작품은 무대에서 연출하던 실제 극본의 성격을 보다 분명히 띠고 있다. 마치원의 한궁추가 문장의 수사를 위주로 한 읽는 희곡의 성격이 짙었던 것과는 사뭇 다르다. 그러기에 그의 작품은 대부분이 당시 서민들의 생활을 반영하는 내용이고, 문장도 평이하고 서민들의 언어에 가까운 표현을 많이 쓰고 있다.
<두아원>은 관한경의 잡극 가운데 사상성과 예술성이 가장 뛰어난 작품이며 중국고전잡극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중국고전비극은 비극의 주인공이 대부분 신분이 낮은 사람들이며 제재의 측면에서 윤리고사를 하는 윤리비극이며 비희교차라는 표현수법상의 특징과 주인공이 완전한 파멸에 이르지 않는 결말을 갖고 있음을 알았다. 조동일, 한국문학과 세계문학, 지식산업사, 1991, p.151
<두아원>에 나타난 관한경의 비극의식을 살펴본 결과, 그는 비극의 근원을 결코 운명과 같은 어떤 절대적인 것에 두지 않고 고리대와 관부의 부패, 윤리의 붕괴와 같은 사회적 모순에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극의 변이라고 불리어지는 제4절에서 작가는 두아의 예언이 모두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낭만주의의 수법으로써 인간과 하늘의 합일되는 경지를 보여줌으로써 비극을 해결하고 있다. 이러한 비극구조 속에서 주인공 두아의 인물형상을 살펴본 바, “중국고전비극의 주인공들은 개성이 없고 평면적이다.”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사건의 전개에 따라 나약하고 평범한 여자였던 두아가 각성된 한 인간의 모습으로 변해가고 있음을 보았고 또한 비극의 주인공으로서 자기의 주장을 관철해 가는 정신적 특이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았다. 이것이 곧 비극주인공의 공통된 특징이며 이러한 정신적 특이성을 지닌 비극 인물이 파괴되어가는 과정을 통해 작가는 비극효과를 거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참고문헌
중국희곡(中國戱曲)(서울: 한국중국희곡학회), 제7집
王國維,《王國維戱曲論著 . 宋元戱曲考等 八鍾》(台北, 純眞出版社, 1982)
<비극의 용어와 용어의 비극(悲劇的話語與話語的悲劇)>, <중국비교문학(中國比較文學)>, 2003年 第2期
해옥봉(解玉峰), <“비극”, “희극”과 중국희곡 연구 및 기타(“悲劇”, “喜劇”與中國戱曲硏究及其他)>
왕계사(王季思) 주편(主編), 상해(上海): 상해문예출판사(上海文藝出版社), 1982
왕계사(王季思) 주편(主編),《중국십대고전비극집(中國十大古典悲劇集)》(上下),상해:上海文藝出版社, 1982
양건문(楊建文),《중국고전비극사(中國古典悲劇史)》(무한: 무한출판사,1994)
韓路檀, 《戱曲論》 (서울, 二友出版社, 1983)
N.Frge 저, 임철규 역, 《비평의 해부》(서울, 한실사, 1982)
《세계문예대사전》(서울, 成文閣,1975)
《元史》
김학주, 원잡극선, 명문당, 2001
민병욱, 희곡문학론, 민지사 1991
한노단, 희곡론, 민음사, 1994
조동일, 한국문학과 세계문학, 지식산업사, 1991
  • 가격4,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0.03.02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5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