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인공종묘, 종묘생산) 개발현황과 육종프로그램을 통한 개발, 종묘(인공종묘, 종묘생산) 생산기술개발기관과 시험장, 종묘(인공종묘, 종묘생산) 기술개발행정, 종묘(인공종묘, 종묘생산) 생산기술개발사례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묘(인공종묘, 종묘생산) 개발현황과 육종프로그램을 통한 개발, 종묘(인공종묘, 종묘생산) 생산기술개발기관과 시험장, 종묘(인공종묘, 종묘생산) 기술개발행정, 종묘(인공종묘, 종묘생산) 생산기술개발사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종묘(인공종묘, 종묘생산)의 개발현황

Ⅲ. 종묘(인공종묘, 종묘생산)의 육종프로그램을 통한 개발
1. 육종프로그램에 의한 우량 양식품종의 집중개발
2. 유용유전자 자원의 개발과 활용을 통한 신기능성 양식생물의 산업화

Ⅳ. 종묘(인공종묘, 종묘생산)의 생산기술개발기관
1. 중앙정부의 종묘생산기술개발기관
1) 수산종묘생산기능의 전체 체계
2) 본원 증식부
3) 수산연구소
4) 수산종묘시험장
2. 지방자치단체의 종묘생산기술개발기관
3. 민간의 종묘생산기술개발기관

Ⅴ. 종묘(인공종묘, 종묘생산)의 시험장

Ⅵ. 종묘(인공종묘, 종묘생산)의 기술개발행정서비스
1. 종묘공급 행정기구의 조직화 방안
2. 종묘공급 행정기구의 감축관리 방안
3. 종묘공급 행정기구의 전문화

Ⅶ. 종묘(인공종묘, 종묘생산)의 생산기술개발사례
1. 종묘생산 기술개발
2. 내수면 어류양식 기술개발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 이후 경제적 어려움에 대응하기 위한 불가피한 접근임을 유의해야 한다. 앞으로 외환위기를 극복하고 국민경제가 호전되고, 동시에 수산행정에 있어 보다 적극적인 정부의 역할이 요구될 때를 대비하여 종묘공급에 관한 행정기구의 확대 발전방안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기존의 종묘시험장을 보다 전문화된 시험장으로 기능을 재편할 필요가 있다.
기본적으로, 국립종묘시험장은 양식품종의 다양화를 위하여 해역별 환경특성에 적합한 고급 품종을 중심으로 종묘생산 기술을 개발하여 기술보급하고, 국가 차원의 연안정착성 품종을 주로 하되, 연안국과의 관계 등을 고려한 국익을 위하여 고급 회유성 품종의 종묘생산 기술을 개발하여 기술의 확보와 자원조성을 목적으로 생산·방류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리고 국가시험장에서는 새로운 품종에 대하여 지자체 배양장과 민간배양장에서 정상적인 종묘 생산 및 공급이 이루어질 때까지는 지속적인 기술보급과 종묘를 생산하여 공급함이 필요하다. 단지 고속성장과 집약적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양식용 종묘와는 차별화 되어야하는 방류용 종묘의 생산기술을 품종별로 연구개발하여 지자체 배양장에 기술이전 함이 요구된다.
이러한 방향에서 국립수산종묘시험장에서는 해역특성에 알맞은 품종의 개발을 주목적으로 하되 국가 전체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하여 해역, 지역별로 중복되지 않도록 기술의 개발보급과 산업화에 힘써야 한다. 즉, 동해에서는 심해·한해성 양식 및 자원조성 대상 품종의 기술개발, 생산 및 방류에 주력하고, 서해에서는 서해안의 특성에 알맞은 간석지의 생태계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품종의 개발과 종묘생산 기술의 연구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며, 천혜의 양식 여건을 지니고 있는 남해에서는 양식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현 양식품종의 생산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신기술의 개발보급과 자원의 조성을 위한 종묘생산 기술개발뿐 아니라, 연안어장의 목장화를 위한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그리고 동·서·남해안과는 또 다른 해역여건을 지닌 즉, 외양에 접하며 수온조건이 아열대와 가까운 제주해역에서는 제주해 특유의 품종의 종묘생산 기술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국립시험장에서는 양식용 신품종 개발과 자원조성용 종묘의 생산기술 개발과 더불어 수산물의 수요와 공급도 점차 세계화되어 가는 현 시점에서 대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내 고유 우수 수산품종의 종보존과 품종개량에도 계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해역특성에 맞추어 12개 시험장을 각각 특성화시험장으로 재편하고, 종묘시험장의 기능상 부족한 동·서·남해 종보존 역할을 수행할 3개 시험장을 신설하여 총 15개 시험장을 국가 기능 시험장으로 운영함으로써, 명실공히 우리나라 수산업 발전의 대 명제인 기르는 어업 육성을 위한 수산종묘생산의 터전을 견고히 하는 것이 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현재 산재되어 있는 연구직을 시험장의 수행기능에 알맞게 연구원 각각의 전공을 고려하여 능력의 발휘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배치함이 필수적일 것이다.
Ⅶ. 종묘(인공종묘, 종묘생산)의 생산기술개발사례
1. 종묘생산 기술개발
경제성이 높고 해역 특성에 적합한 우량품종의 量産과 방류확대를 위하여 전국 12개 수산종묘시험장에서 魚類는 은어외 5종 1,600천마리를, 貝類는 피조개외 4종 1,920천마리, 甲殼類는 보리새우외 3종 16,810천마리를, 그리고 기타 북쪽말똥성게, 보라성게, 쭈꾸미 등 370천마리 등 총 20,700천마리를 생산하여 어업인에게 분양하거나 연안에 자원조성을 위하여 방류하였다.
또한 新品種의 種苗生産 기술개발을 위하여 魚類는 줄가자미, 강도다리, 돌가자미, 말쥐치, 벵에돔, 붉은쏨벵이, 황복, 수조기, 부세, 대구 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貝類는 바지락, 백합, 피조개, 왕우럭, 코끼리조개, 재첩, 전복류, 해가리비 등의 종묘생산 시험이 실시되었다. 이 외에도 북쪽말똥성게, 참해삼, 꽃게, 주꾸미, 모자반, 청각, 다시마, 미역 등도 種苗生産 시험이 실시되었다. 이 밖에 국내 固有種의 개체 보존을 위하여 강도다리, 황점볼락, 자주복 등 어류 13종, 참전복 등 貝類 6종에 대한 유전학적 동정과 계통 보존도 동시에 실시하였다.
2. 내수면 어류양식 기술개발
淡水魚類 生産普及은 內水面 資源增强 및 養殖漁家 소득향상을 목적으로 수행되어 잉어류, 붕어, 쏘가리, 동자개, 줄새우, 시마연어, 산천어 등 淡水魚種 稚魚 196만마리를 생산하여 24만마리를 養殖漁家에 分讓하였으며, 內水面 資源增强用 종묘를 溫水性 어류인 잉어 58만마리, 붕어 18만마리, 동자개 5만마리, 대농갱이 2만마리, 줄새우 20만마리와 쏘가리 2만마리를 大單位 水面을 비롯하여 26개 저수지 및 江에 방류하였다. 冷水性 魚種으로는 산천어 5만5천마리와 시만연어 3만마리를 4개 하천에 방류하였으며, 回遊性 魚種인 연어는 755만마리를 생산하여 7개 하천에 방류하였다. 또한 최근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에 의한 棲息地 감소와 서식환경 악화에 따른 멸종위기 우려가 있는 내수면 어류의 보호관리와 자원증강을 위해서 천연기념물인 황쏘가리 5천마리와 어름치 3천마리, 멸종위기종인 꼬치동자개 5천마리를 생산하여 原棲息地에 방류하였다.
Ⅷ. 결론
1974년에는 경남 통영의 욕지·산양·곤리·봉암·한산 등을 중심으로 방어양식이 시작되었고, 1975년에는 거문도에서 연승어업으로 채포한 방어를 월동시키면서 이 지역의 양식이 시작되었다. 1976년부터는 자연산 방어의 치어를 채포하여 양식하기 시작하였고, 1983년은 돔·농어에 대하여 1985년에는 조피볼락이 양식되기 시작하였다. 1986년에는 넙치를 대상으로 육상수조식 양식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고, 1988년부터는 넙치의 종묘생산이, 1991년부터는 조피볼락·점농어·황점볼락·돔류 등의 종묘생산이 가능하게 되면서 본격적인 어류양식의 길이 열리게 되었다.
참고문헌
- 국립 수산 진흥원 여천 종묘 배양장(1993), 패류 양식 기술 개발 현황과 전망
- 남해 수산 종묘 배양장(1996), 패류 인공 종묘 생산 및 관리
- 부경대학교 수산과학 연구소, http://www.ifs-kmcc.re.kr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7.2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5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