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이용특성과 교통사고 발생빈도에 관한 실증분석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는 연상면적을 고려하는 것이 더욱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Ⅴ.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본 연구에서는 교통안전기본계획 수립에 따라 교통사고 예측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 Zone의 다양한 특성(토지이용, 사회경제적 등)을 고려한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점도 분석을 활용하여 국내의 여건에 적합한 토지이용 특성변수를 비교한 결과, 대지면적(0.342)과 같은 평면적 특성보다는 연상면적(0.618)과 같은 입체적 요인이 교통사고와의 관계를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토지이용 특성을 반영한 연구를 진행할 경우 연상면적을 활용하는 것이 국내여건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대지면적 기준에 대한 모형의 영향력을 비교하여 보면, 자동차등록대수(0.701), 고령자인구(0.259), 인구천명당 사업체수(0.161), 인구십만명당 문화기반시설수(0.161), 대지면적(0.140)순으로 도출되었다. 결과적으로 대지면적보다는 자동차등록대수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총연상면적 기준에 대한 모형의 영향력을 비교하여 보면, 총연상면적(0.791), 인구십만명당 문화기반시설수(0.157), 고령자인구(0.152), 자동차등록대수(0.101), 인구천명당 사업체수(0.024)로 총연상면적의 영향력이 높은 변수로 판단할 수 있다.
넷째. 교통사고 발생빈도에 영향관계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보면, 유형 1(대지면적)의 경우 자동차등록대수, 유형 2(총연상면적)의 경우 총연상면적이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외의 일부 연구에서 고려하고 있는 평면적 개념의 대지면적이 국내여건을 설명하기에는 다소 미흡하다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따라서 국내의 토지이용 수준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에 경우 대지면적보다는 연상면적을 고려하는 것이 더욱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공신력 있는 국가기관 데이터를 바탕으로 교통사고 발생빈도에 대한 영향모형을 개발하였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를 내재하고 있다.
첫째, 자료와 변수 수집에 대한 한계이다. 교통사고 발생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통시설측면(도로연장, 신호교차로 및 횡단보도 수, 주차장 등)을 추가적으로 조사 분석한다면, 더욱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교통시설에 대한 효과를 지역적으로 평가해 볼 수 있는 정책효과 모형으로서도 의의를 가질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분석대상에 대한 한계이다. 본 연구는 서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로 수도권을 포함한 지방 광역권 등으로 확대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이와 같은 여러 연구를 통해 부족한 부분들이 보완되어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교통사고예측 및 교통안전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자의 관심이 요구되어진다.
참고문헌
1. 권기동(1993), “서울시 교통사고 예측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 경찰청, 2009 교통사고통계, 2010.
3. 김홍상(1987), ‘교통사고의 기술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공사 도로연구소.
4. 김효종(1997), “교통사고 유형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전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노정현(2002), 교통계획 통행수요이론과 모형, 나남출판사.
6. 서울특별시, “서울통계표”, 각 년도별
7. 이성희(2010), 토지이용을 반영한 통행발생모형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수범(2005), “신설 도시부 장래 교통량 변화를 반영한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3호.
9. 이환승안병준(2006), ‘교통안전진단 결과분석을 통한 교통사고 요인분석’, 한국안전학회지, 제21권 제2호.
10. 임헌연(1993), 한국의 사회경제적 여건변화를 고려한교통사고예측모형의 개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진교남(1983),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고속도로 교통사고의 원인 및 특성규명에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 1권 제1호.
12. Alicia L. et al(2004). "From empirical bayes to full bayes: methods for analyzing traffic safety data"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3. Andrew V. Metcalfe(2006), “The influence of urban land-use on non-motorised transport casualti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8.
14. Firas(1989), 'Some Factors Affecting Growth of Accident rates in Developing contries-IRAQ AS.A case-study', 11th IRF Meetings Proceedings, Vol(5)
15. Megan Wier(2009), “An area-level model of vehicle-pedestrian injury collisions with implications for land use and transportation planning”,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41.
16. Miaou, S. P., Lu, A., Lum, H. S(1996), Pitfalls of Using R2 to Evaluate Goodness of Fit of Accident Prediction Model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542.
17. Smeed(1949), 'Some Statistical Aspects of Road
18. Safety Research',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General), Part 1.Vol. 23, No 5.
19. 국토해양부 Homepage(http://www.mltm.go.kr)
20. 국가통계포털 Homepage(http://www.kosis.kr)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2.17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15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