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바울의 선교 신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도바울의 선교 신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제 1장 바울이전의 선교
2. 제 2장 바울과 선교
3. 제3장 바울의 선교원리
4. 제4장 바울의 선교 방법
5. 제 5장 바울 서신서와 선교
6. 제6장 바울의 선교 공동체인 교회
7. 제 7장 바울의 선교에서 본 구원의 대상
8. 제8장 바울과 현대 선교 신학
9. 제9장 바울과 소태산의 은혜 사상의 비교
10. 제10장 21세기 한국교회의 선교방안

본문내용

소태산의 사은 사사으이 정확한 년대를 추측할 수 없으나 사은의 최초교리는 1916년부터 1919년 사이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사은 사상은 사요로 연결시켰다. 즉 사은 사상을 아는 것으로 족하지 않고 실천하도록 강권하고 있음으 알 수 있다. 사은 사요의 교리형성의 원천은 소태산의 대각 직후인 1916년 5월 구성하였던 최초법어 중의 제가 요법과 강자 약자 진화상 요법에 근거 한다.
사태산의 사은 사사으이 중심에는 존재자인 나가 있다. 즉 나를 중심으로 사은 사상이 전개됨을 볼 수 있다. 소태산의 사은을 존재와 존재간의 상오 의존적관계에서 사은의 의미를 찾기도 한다. 천지은은 우주의 존재에 대해서 은혜를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 부모은 나의 존재의 근원은 부모의 은혜임을 강조한다. 소태산은 생육지근으로서의 부모은을 말하고 이다. 이는 인간 존재의 실존의 원인이 부모의 은혜라고 주장함을 말한다. 동포은은 우리가 사는 이웃에서부터 공동체 구성원인 민족의 은혜를 가벼히 여기지 말라고 강조한다. 법률은은 공동체의 삶의 가운데에서 질서를 가져다주는 법률의 중요성을 말한다. 소태산의 법률은 은 정의구현으로서의 법률은이다. 지금까지 사은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였다. 이상의 사은과 사요를 실천하면 결국 곳곳마다 부처요 일일마다 불공이다 라는 진리를 깨처서 일원상의 체성에 합하게 된다.
소태산의 은사상은 원불교 신앙의 골격을 이루고 있다. 소태산의 원불교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신앙인 불유선 종교를 뛰어 넘어 종교적 진보를 시도하고자 한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라는 후천개벽의 특성을 갖고 있다. 소태산의 원불교의 형성은 국가적 위기에서 발현되었다고 보아야 한다. 조선조 말기에 반상체제의 붕괴와 유민의 증가와 같은 사회현상에서는 현실에 대한 부정과 공상적인 미래, 국토나 내세에 대한 관심과 갈망이 깊어질 수 밖에 없었다.
소태산의 원불교 경전에 나타난 사은 사상을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해 보았다. 일반적으로 은혜란 의미는 통속적인 희랍어에서는 쾌활함이나 매력같은 의미를 갖고 있다. 구약의 은혜는 헨과 헤세드이다. 헨은 지배적으로 은총이라는 뜻으로서 이는 받을 만한 자격이 없는 사람에게 베푸는 은총이라는 뜻이 저변에 깔려 있다. 신약 성경에서 은혜란 그리스도와 연관되어 있다. 그리스도께서 이루어 놓으신 은혜는 인간의 노력에 의해서 얻을수 있는 것이 아니다. 바울은 인가의 공로에 따라 은혜를 주시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바울은 자신의 서신에서 자주 하나님의 은혜라는 말을 수없이 사용한다. 하나님의 은혜는 나쁜 대우를 받아야 할 사람에게 나타난 하나님의 선하심을 뜻한다. 하나님은 은혜 공급의 수단으로 독생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활용하셨다.
▶제10장 21세기 한국교회의 선교방안
한국의 교회사가 말해 주듯이 개신교 선교 수용이 130년이 겨우 넘은 한구교회는 선교에 대한 경험과 방법 그리고 원리가 축적되어 있지 않다는 데에 공감한다. 한국 선교의 사활은 복음주의 선교신학의 정립에 있다. 세계선교의 현장을 보면 우리는 수없이 맣은 다종교들과 시름하고 있다. 실제적으로 필자가 사역하면서 경험하였던 필리핀 카톨릭의 구원관은 믿음+ 선한 행동 이며 이는 카톨릭 교회만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은 구원관을 가진 그들에게 구체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만이 유일한 구원의 길이라고 가르쳐야 한다.
21세기 선교를 열면서 선교사에 대한 분명한 대책이 없으며 한국 선교는 사상누각의 길을 걸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선교사의 기본 요건은 그가 하나님으로부터 선교사역에 대한 분명한 부름이 있는가를 알아보아야 한다. 두 번째는 선교사의 교육정도의 문제이다. 선교 교육이 너무 낮아서 하나님의 말씀을 효과적으로 증거하지 못하면 막대한 자원의 낭비를 가져온다. 예수님께서는 기도하는 심정으로 소수 집단을 선택하셔서 새로운 운동을 시작하셨으며 3년 동안 저들을 훈련시키셨다. 사실 선교사 훈련을 통한 선교의 원리와 방법의 연구 없이 선교지 필리핀에 와서 수없이 선교의 부작용들을 만드는 것을 보았다. 결국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맏겨 주신 선교의 열매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훈련은 반드시 필요하다.
선교사는 선교현지에 도착하면 수많은 유혹을 받게 된다. 선교사 사역의 꽃은 역시 하나님의 교회를 선교 현지에 설립함으로서 선교의 교두보를 만들고 지역 주민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교회를 스스로 꾸려가는 자조, 자립, 자치의 교회를 만드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예수님의 지상명령은 모든 족속들에게 복음을 증거하여 제자를 만드는 것이다. 선교에 있어서 자립원리는 선교의 사활을 결정짓는 중대한 전략이다. 비록 사도 바울이 선교의 전략적 요충지를 미리 계획하지 않았다고 하는 학자들이 있기는 하지만 그가 설립한 교회들의 대부분이 그 지역의 중심부를 이루고 있다는 것은 성경이 우리에게 가르쳐주고 이다.
21세기 한국 선교의 또 다른 과제는 교회의 선교적 역할의 증대를 가져와야 한다. 선교사란 타문화권 사역이므로 일반 국내의 목회자나 사역자보나 더욱 높은 자질이 요구된다. 선교사의 자질문제를 거론 할 때 흔히들 윌리엄 케리를 예로 들면서 교육의 무용론을 주장하는 이도있다. 신학교에서 가르칠 수 있는 선교사를 파송함으로서 한국선교의 위상을 높여야 한다고 본다.
세계선교는 한국교회의 전유물이 아니다. 사도 바울은 동반자적인 선교를 그의 사역에 효과적으로 적용하였다. 1974년 로잔 세계복음화 대회 때에 랠프 윈터 박사에 의해서 미전도 종족이라는 용어와 함께 복음화 운동이 전개 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이러한 미전도종족복음화 운동은 “10/40”과 맞 물리면서 이젠 세계적인 선교전략의 이슈가 되었다. 1980년대에 오면서 급속한 경제성장과 아울러 한국 내의 산업계는 3D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한국 교회가 시급히 해야 할 선교적 과업은 탈북자 및 북한의 동포들을 위한 선교전략이다. 그러나 우리 한국교회에게주어진 지상명령을 성취해 나감에 있어서 서구 교회가 실패 했던 길을 다시 걷지 말고 무조건 구미신학을 받아드리는 사대주의적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 세계 속에 한국이 가진 정적이고 끈질긴 생명력의 선교를 감당해야 하겠다.
  • 가격2,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3.26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62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