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근무경력에 따른 유아미술교육활동의 운영실태 및 교수방법의 차이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및 절차
  1) 연구도구
  2) 연구절차
 3.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1. 교사의 근무경력에 따른 유아미술교육활동 운영실태에 관한 분석
 2. 교사의 근무경력에 따른 유아미술교육활동 교수방법에 관한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본문내용

이미혜(2009).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순희(2008). 유아교육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교사의 미술활동인식 및 미술교수 효능감의 차이. 경운대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양희(2002). 유아미술 교육 실태 비교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연희, 박화윤(2009). 지역사회체험에 기초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 및 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415-432.
이위환, 최성열(2005).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미술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4(1), 273-283.
이인숙(2001). 유아 미술감상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덕성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욱, 임수진(2003). 탐색표현감상의 통합적 유아미술교육. 서울 : 정민사.
임진형(2004). 유아 교사 양성대학의 유아미술 과정 분석. 제주 한라 대학 논문, 20, 221-235.
장영숙, 윤혜란(2006). 미술중심의 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과교육연구, 27(1), 69-94.
조남숙(2004). 유아의 미술활동이 감성지능(EQ)에 미치는 영향. 한영신학대학교 교수논문집, 8, 409-431.
조성은(2008).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유아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과 현황조사. 서울신학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지성애(2009). 유아교사의 미술교육에 대한 교수 효능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209-231.
차금안(2007). 유아미술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광주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채영란(2008). 유아교사의 미술교수 효능감과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9(1), 229-250.
최영명(2009). 유아미술작품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부산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nn, S. Epstein. (2009). 유아교수방법. (이은혜, 박진재, 송영주, 송혜린, 신혜영, 정선진, 최혜영 역). 양서원. (원본발간일 2006).
Fessler, R. (1985). A model for teacher professional growth and development. In P. J. Burke & R. G. Heideman(Eds.), Carrer-long education. Springfield, IL : Charles C Thomas.
Gallas, K. (1994). Arts as epistemology : enabling children to know what. In Gallas, K.,(Ed). The languages of learning. New York : Teachers College Press.
Hyson, M. (2000). Is it okay to have calendar time? look up to the star, look within yourself. Young Childern, 55(6), 60-61.
Katz, L. G. (1985). Research currents : Teachers as learners. Language arts, 62(7), 778-782.
Koster, J. B. (2001). Growing artists : teaching art to young children.,(2nd ed). Albany, NY : Delmar.
Schirrmacher, R. (2006).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5th ed). NY : Thomson Delmar Learning.
Shirrmacher, R., & Fox, J. E. (2009). Arts &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New York : Delmar.
Abstract
The Study for Difference of Actual Condition and Teaching Method of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related with Teaching Care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actual conditions and teaching methods of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related with teaching career. Toward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actual conditions and teaching methods of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using a study base of 588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Seoul, Kangwon-do, Gyeongsangnam-do and Jeollanam-do province. Following were the results. First, the application of teaching medium, search activity and appreciation activity of art education among actual conditions of art education were different with teacher's careers. Second, the management of art field, free choice activity connected with another playing activity, integration of subjects, instruction of integration as search,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ctivity of art education, and multimedia application among teaching methods of art education were different with teacher's careers.
  • 가격3,3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2.05.10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53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