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정보학과][문헌][문헌정보학과 연혁]문헌정보학과의 연혁, 문헌정보학과의 교육목표,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문헌정보학과의 교육프로그램, 문헌정보학과의 미국 사례, 향후 문헌정보학과의 개선 방향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헌정보학과][문헌][문헌정보학과 연혁]문헌정보학과의 연혁, 문헌정보학과의 교육목표,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문헌정보학과의 교육프로그램, 문헌정보학과의 미국 사례, 향후 문헌정보학과의 개선 방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문헌정보학과의 연혁

Ⅲ. 문헌정보학과의 교육목표
1. 전문학술의 탐구 능력 함양
2. 정보관리 능력 함양
3. 정보처리 능력 함양
4. 국제적 정보 교류 능력 배양
5. 외국어 능력 배양
6. 응용력과 창의력 배양

Ⅳ.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Ⅴ. 문헌정보학과의 교육프로그램
1. 주제사서(Subject Librarian)
2. 「기록보존사서 또는 기록보존사」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1) 기록보존학 기초영역
2) 기록물영역
3) 기록물관리영역
4) 기록보존학 관련영역
3. 시스템사서 양성 프로그램
1) 1년 차
2) 2년 차
3) 3년 차

Ⅵ. 문헌정보학과의 미국 사례

Ⅶ. 향후 문헌정보학과의 개선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툼(jurisdictional disputes)이 우리의 학문(문헌정보학)에 미칠지도 모르는 부정적 영향을 거시적 관점에서 염려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 개혁파들은 무엇보다도, 새로운 사회지배계층으로 등장하고 있는 소위 정보전문가의 그룹에 자신들도 자동적으로 포함될 것으로 믿고 있는 일부 현장사서들의 순진한 사고와, ‘기록된 지식의 보존과 시간적 전이’라는 고유의 역할에 충실 하는 것이 지금과 같은 사회적 전환기에는 보다 바람직한 생존전략이라면서 도서관이 존재하는 한 문헌정보학도 존속할 것이라고 믿는 일부 문헌정보학자들의 보수적 사고를, 우려 어린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들은 학문으로서의 문헌정보학과 직업으로서의 사서직의 생존을 위해서는 지식과 정보를 매개로 한 새로운 사회질서가 형성되어 가고 있는 작금의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여야만 하며, 대처의 적극성에 따라서는 학문과 직업군의 사회적 위상을 제고할 수 있는 호기도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들은 특히 사서가 정보전문가 직업군의 핵심그룹으로 지목되는 지식공학자(knowledge engineer)의 대열에 끼어든 것은 현실적으로 힘들지라도, 사서 업무의 특성으로 볼 때 또 하나의 핵심그룹인 정보의사(information doctor)의 대열에 끼는 것은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니라는 견해를 갖고 있다. 이를 위한 기본 조건을 학문성과 현장성의 제고를 위한 문헌정보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이라고 이들은 보고 있다.
개혁파들이 주장하는 문헌정보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있어 키워드는 ‘탈기관화(deinstitutionalization)’이며, 여기서의 기관은 물론 ‘library’를 의미한다. F. Lancaster의 지적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사서직(librarianship)이 현존하는 직업체계 속에서 가장 기관중심적인 직업(the most institutionalized of profession)임을 잘 알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는 문헌정보학(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이 현존하는 학문체계에서 가장 기관중심적인 학문(the most institutionalized of science)임도 잘 알고 있다. 학문의 명칭에서 ‘library’字를 떼어내자는 개혁파들은 ‘library’字가 갖고 있는 사회적 보수성이 인터넷 시대를 사는 그리고 늘 미래지향적으로 思考하기 마련인 젊고 유능한 학생들을 ‘library school\'로 끌어들이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토로한다. 다시 말해, 이들은 현 단계 문헌정보학의 패러다임이 교육수요자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는데 실패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렇다면, 개혁파들이 주장하는 문헌정보학에 있어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중심적 사고는 무엇인가? 대표적인 개혁파라고 할 수 있는 Oklahoma 대학 Library school 학장인 J. Lester의 말을 직접 들어보자. 그는 말한다(발언자의 의도를 명확히 전달하고자 번역보다는 원문을 그대로 인용하였다).
“We need to shift from an institutional focus to a much broader conceptual base, which would prepare people to be information professionals regardless of the application or setting... We need to focus on processes and products and services that help people with information needs, and on the environment in which people have their information needs met... And we need to help our graduates understand the full range of possibilities rather than focusing just in one dimension.\"
이 말의 요점은 무엇인가? J. Lester는 ‘도서관’만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적 편협성을 이제는 벗어나야 한다고 역설한다. 학문의 폭을 넓히고 그 깊이를 더하여, 정보의 유통과 관계된 분야라면 어디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사회적 응용성이 보다 큰 연구와 교육을 하자고 주장한다. 그래서 문헌정보학을 공부한 학생들이 도서관뿐만 아니라 사회의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돕자고 주장한다. 이처럼, 이 짧은 인용문은 개혁파들이 주장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중심적 사고는 탈기관화를 통한 문헌정보학의 학문성과 현장성의 제고에 있음을 명백히 보여주고 있다.
Ⅶ. 향후 문헌정보학과의 개선 방향
한국의 문헌정보학은 자생적인 기반이 약한 상태에서 무분별한 외국의 이론도입에 치중하여 왔으며 양적인 팽창에 준거한 외국 의존적 학문이었다. 따라서 한국문헌정보학을 우리 사회에 뿌리내리게 하기 위하여 그리고 우리 도서관 현장에 적용되어 질 수 있는 학문적 기틀을 마련하기 위하여 노력해야할 필요가 있다.
문헌정보학에서 학문이 적용되기 위한 대상체인 도서관의 모습도 무조건적인 미래를 말하기보다는 현실성 있는 미래를 보다 솔직하게 자신의 언어로 말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한국의 문헌정보학이라는 학문적 이론이나 도서관이라는 현장은 본질은 하나인데도 불구하고 서로 유리된 방향을 모색해 왔으며 이로 인해 많은 갈등이 있어온 게 사실이다. 이제는 학문이 현실을 말하고 현실은 발전된 이론을 저항 없이 받아들임으로써 서로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위해 노력해야 하겠다.
참고문헌
김선호, 장애 이슈에 대한 문헌정보학과의 교육 현황 분석,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2010
남영준, 우리나라 문헌정보학과 교과목의 정보서비스 영역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2011
엄영애, 문헌정보학과 학부 교과과정의 변화,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2009
이만수, 문헌정보학과 교육실습실에 관한 이론적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2002
이승채, 우리나라 문헌정보학과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한복희, 학부제하의 문헌정보학과 교육과정 개발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1998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7.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68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