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학,생물공학] 3M배지를 이용한 미생물검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생물학,생물공학] 3M배지를 이용한 미생물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Theme
2. Purpose
3. Principle
4. Reagent & Equipment
5. Method
6. Result
7. Discussion

본문내용

름판으로 눌러주었다. 살짝 굳은 뒤에 배양기에 옮겨 35도씨에서 2일간 배양시켜 주었다. 2일 뒤에 배양시켜 준 배지를 꺼내 균체수를 측정하였다.
수를 측정할 때는 일반세균의 경우 산화환원반응으로 인해 붉은색 콜로니를 형성한 것의 수를 측정해주면 되고 대장균군의 경우 가스방울들이 붙어있는 붉은색 콜로니와 푸른색 콜로니의 수를 측정해주면 된다. 세균 수를 측정할 때는 집락 형성단위인 cfu/ml 또는 cfu/g로 표현하는데, 치즈의 경우 고체이기 때문에 cfu/g로 표현하였고 손의 경우에는 손을 씻은 물로 액체이기 때문에 cfu/ml로 표현하였다. 측정한 결과 1조의 치즈에서는 아무 것도 검출되지 않았고 2조의 경우 일반세균은 평균을 내본 결과 3.3cfu/g이 나왔고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다. 3조의 치즈는 개수를 세는 것에 어려움이 있어 필름배지 한칸의 콜로니를 세어준 후 전체 칸수인 20을 곱해주었다. 일반세균이 비교적 많이 검출되었는데 이는 치즈 제조과정 중에 오염이 되어서 일 것이다. 아마 훼이와 커드를 분리해주는 과정에 손을 이용하여 오염되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4조의 경우 치즈양이 부족하여 세 번째까지는 진행을 할 수가 없어 손을 씻은 물로 실험을 진행해주었다. 손에서는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지만 일반세균이 8000cfu/ml로 비교적 많이 검출되었다. 3조의 일반세균수, 4조 손의 일반세균 수 모두 손에 의한 것으로 손에는 세균이 많음을 알 수가 있었다. 또한 치즈가 쉽게 오염되는 것으로 보아 다른 식품의 제조공정에서도 항상 오염되지 않게 사소한 것에도 유의해야한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7.03.06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06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