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숲과 삶 A형 대기오염과 숲 생물다양성 확보 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통대] 숲과 삶 A형 대기오염과 숲 생물다양성 확보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대기오염에 의해 숲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고, 숲의 생물다양성 확보를 통한 생태계 회복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시오.




목차

서론

본론
1. 생태위기의 상황과 실태
2, 생태위기의 원인과 영향
1) 대기오염
2) 수질오염
3) 물 부족
4) 지구 온난화
5) 토양오염
3, 생물다양성 확보 대책
1) 생태계서비스 개념
2) 생태계서비스와 마을숲과의 관계
3) 생물다양성과 마을숲
4) 종다양성과 마을숲
5) 생태계다양성과 마을숲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diversity)의 3가지 수준으로
구분된다(박선숙, 2011).
생태계다양성이란 산, 호수, 강 및 경작지 등의 생태계의 다양성을 의미하
고 한 생태계에 속하는 모든 생물과 무생물의 상호작용에 관한 다양성을 의
미한다. 종 다양성은 일반적으로 한지역내 종의 다양성 정도, 분류학적 다양
성을 지칭한다. 유전자다양성이란 종 내의 여러 집단을 의미하거나 한 집단
내 개체들 사이의 유전적 변이를 의미한다. 이중 전통 마을 숲의 생물다양성은
생태계 다양성과 종다양성 수준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4) 종다양성과 마을숲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경관의 패치(patch)들은 개별 서식지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생물의 종다양성을 높이는데 공헌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산림
주변에 있거나 평지에 조성된 마을숲은 산줄기를 잇는 징검다리 역할을 한다.
이는 주변 패치와의 연결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그곳은 다양한 식
물 및 동물(조류, 곤충, 양서류, 파충류 등) 종들이 살 수 있는 서식처, 먹이
자원 등의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마을숲은 지역의 생물 종다
양성을 증진시키는 잠재력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마을숲의 식물 종 구성을 살펴보면 전국에 있는 마을숲 499개소 중 식물
종수는 1,081종이 출현하고 있으며 이 중 목본 종은 154종이 나타나는 것으
로 보고되고 있다(임정철, 2012). 이러한 수치는 마을숲 전체 면적이 산림
면적에 비해 상당히 좁은 면적임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종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송말숲을 대상으로 조류의 특성을 관찰한 결과(이
도원, 2007)는 텃새 14종, 겨울철새 3종, 여름철새 5종으로 총 22종 조사되
었다. 이들 종은 주로 수목의 열매를 비롯하여 육상 곤충과 거미류, 지
렁이류, 수서곤충, 소형포유류 등을 주요한 먹이자원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보
고되고 있다. 이는 마을숲 내부에 다양한 형태의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
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종 다양성 또한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5) 생태계다양성과 마을숲
마을숲의 경관을 살펴보면 마을숲 주변 패치와의 차이점을 찾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을숲 주변으로는 마을, 농경지, 하천이 인접해 있는 경우가 일
반적이다. 그리고 일정 간격의 거리를 두고 산림이 위치하고 있다.
이 중 산림은 마을숲과 가장 닮아 있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
인위적인 간섭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마을숲은 인근에 있는 산림 패치와는
다르게 형태나 생물종 등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박재철,
2006). 이러한 이유로 마을숲은 하나의 독립된 경관을 연출하는 동시에 특정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생태계다양성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결론
환경위기에 대한 경고는 이미 40년 전 레이첼 카슨(Rachel L. Carson)의『침묵
의 봄』(Silent Spring, 1962)을 통해 합성살충제(DDT)의 치명적인 문제를 고발함
으로써 생태 위기의 심각성을 각인시키는 기폭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환경
고발을 통해 생태학적 문제는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여 마침내 국제적 이슈가 되
었고, 생태학적 패러다임을 형성하는 새로운 전환점이 되었다. 지금 인류는 생
명 존속의 심각한 불안의 시대를 살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인식하고 있는 사안
이다. 다른 모든 생명체들과 마찬가지로, 인간은 자신의 생존 기반인 자연 환경
을 떠나서는 살 수 없다. 생태계의 불안정과 변동은 전체 인류에게 영향을 미치
므로 생태계의 문제는 모든 인간의 문제와 연결된다. 생태계의 변화는 소리 없
이 느리게, 눈에 띄지 않게 진행 중에 있기 때문에, 표면적으로 그 위험 수위를
발견하기 힘들지만 잠재적인 위험은 머지않아 치명적 위기를 초래할 것이라고
학자들은 지적하고 있다. 이처럼 소리 없이 점진적으로 파괴되어가는 생태계의
위기를 스튜어트 우달(Stewart Udall)은 “조용한 위기”(quite crisis)라고 표현한다.
생태계 위기의 직면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Rio de
Janeiro)에서 유엔 주최로 개최된 인류 최대의 환경회의였던 “유엔 환경개발회
의”는 환경 문제를 전 지구적 생존전략으로 취급했으며 지구 헌장의 성격을 지
닌 리우 선언과 지구 환경 보존의 지침격인 의제 21을 채택하여 지구 환경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환경시대의 상황에서 자연 환경의 보존과 생명 존속을 위한 우리의 역할과 책임은 어떠해야 할 것인가? 생태 위기상황 속에서 우리들은 어
떠한 입장을 취해야 하는가? 생태학의 문제는 생명과 생명 단위의 상호 이음의
문제이다. 생태계의 현실은 생명 단위 사이의 에너지 흐름, 물질의 순환, 정보의
교환이라는 생명 상호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진행되는 관계적 현실이다. 생명의 현
실은 개체 생명과 온 생명, 부분과 전체 사이의 관계망 안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생명의 현실은 관계의 실재이다. 그러므로 생태계는 인간과 자연이 더불
어 존재함과 더불어 삶의 세계이고, 공동적 실존의 세계이다. 자연의 고통이 인
간에게 파멸을 초래할 수 있는 이유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가 공동적 운명 공동체
로서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과 자연은 서로 연결되고 결속되어 있으므로
자연이 병들면 인간도 병들게 될 만큼 인간과 자연은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의
그물망 안에 실존하고 있다는 점을 명심하고 생명다양성 확보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참고 자료
손재영, 김현주, 박재룡, [수도권 정책의 새로운 방향], 삼성경제연구소, 2007.11
환경보호와 환경정책, 이상돈, 2012, 대학출판사
남효장(2006). 나는 매일 숲으로 출근한다. 서울: 청림출판
김종원.2013.우리나라의 숲환경 현황 분석 연구.서울:한국 환경개발기술원.
권태호, 2011, 숲길 조성관리기본계획(안)수립을 위한 연구, 산림청
이주형, Renate Burger-Arndt(2012), 독일 도시숲의 이용실태와 치유기능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5(3), pp.81-89.
김학범.2014.한국 전통도시숲의 변천특성과 요인에 관한 연구.한국정원학회지 13:1-11.
  • 가격2,9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7.03.21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19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