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기독교사 연구] 인도 달리트 신학과 한국 민중 신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시아 기독교사 연구] 인도 달리트 신학과 한국 민중 신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모두 하나같이 해방신학적인 범주에 든다는 것이다.
또한 차이점이 있다면 첫째, 민중은 사회계급(Class)에서 출발한 사회적 약자집단인데 반하여 달리트는 인도 고유의 카스트 제도에서 출발하여 힌두교의 교리에서 부정 탄 저주받은 집단이라는 점이다. 둘째, 민중이 사회 혁명적인 상황에서 해방의 과제를 부여받았다고 한다면 달리트는 인도 인종차별의 뿌리인 힌두교 교리사상에 의하여 형성된 업보(Karma)교리에 입각하여 인간을 차별하고 노동을 착취하는 것이다.
특히 달리트의 경우는 인도 종교사회에서 경험하게 되는 신분차별이 결과적으로는 달리트라는 차별 받는 민중을 낳았고 이러한 상황과 처지에 있는 달리트는 억눌린 자들의 눈에서 보면 아시아의 억눌린 민중들의 투쟁과 차이점이 없다는데서 공통된 과제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시아 에큐메니칼 신학의 과제는 동일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며 여기에 강력한 민중해방의 연대의식이야말로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제 앞으로 아시아해방신학을 논하고자 한다면 그것은 분명 한국 민중과 인도 달리트의 연대가 매우 중요하고 필요하다는 인식에 도달할 수 있다.
나가는 말
인도 카스트 제도 안에서 달리트가 무엇인지 , 달리트 신학의 출현배경과 그 의의가 무엇이고, 한국 민중 신학과의 관계가 어떠한지 우리는 발제를 통해서 알 수 있다.
두 아시아 해방신학에 대해서 알게 된 후, 지금 우리의 옆에서 억압당하고 부정의한 세상을 살아가는 자들을 보고 있는지 생각해본다. 우리는 지금 우리네의 삶에서 정의를 외치고, 약자의 옆에서 함께하고 있는지 다시금 생각해본다. 그저 우리의 삶이 바빠서, ‘그냥 그렇게 사는가보다’ 하면서 어느 순간 정당화와 합리화로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지는 않는지 반성해본다. 또한 아시아에서 고난당하는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깊은 관심이 인간을 해방하게 하시려는 하나님과 인간해방의 실천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와 인간해방의 영성으로 역사하시는 성령의 막강한 개입이 나타나게 되기를 소망하고 기도한다.
※참고도서
1.막스 베버, 『힌두교와 불교』 홍윤기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6)
2.G. 구티에레즈,『해방신학』 (왜관: 분도출판사, 1977)
3.Paul Tillich, Systema tic Theology, (Chicago: T 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7)
4.박성기, “인도 달리트신학의 배경과 의의”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1.19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01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