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문규범 - text를 통해 본 한글 맞춤법 - 소설에서 적용된 한글 맞춤법 - 대중가요 가사에서 적용된 한글 맞춤법 - 한글 맞춤법 관련 기출문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어문규범 - text를 통해 본 한글 맞춤법 - 소설에서 적용된 한글 맞춤법 - 대중가요 가사에서 적용된 한글 맞춤법 - 한글 맞춤법 관련 기출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text를 통해 본 한글 맞춤법

2-1. 소설에서 적용된 한글 맞춤법
2-2. 대중가요 가사에서 적용된 한글 맞춤법



3. 한글 맞춤법 관련 기출문제



4. 맺음말(연습문제)

본문내용

이것은 책이요, 저것은 붓이요. 이것은 책이오, 저것은 붓이오.
\'이것은 책이오\', \'이리로 오시오\'에서 각각 [채기요], [오시요]로 소리 나지만, \'책+이(서술격 조사)+오\', \'오+시(높임을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오\'와 같이 종결어미 \'-오\'가 사용된 경우이므로 소리 나는 대로 적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은 붓이요, 저것은 먹이다.\'에서는 종결어미 \'-오\'가 아니라 두 문장을 연결해 주는 어미 \'-이요\'가 쓰인 것이므로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이렇게 명확한 규정에도 많은 사람이 \'-이오\'와 \'-이요\'를 혼동하는 데에는 비격식체인 \'해요체\'의 영향이 크다. 우리말에는 격식체로 \'아주높임(하십시오체 : -습니다, -ㅂ시오, -ㅂ니까)\', \'예사높임(하오체 : -오. -소), \'예사낮춤(하게체 : -네, -게, -나)\', \'아주낮춤(해라체 : -는다, -어라, -느냐)\'이 있고, 비격식체로 \'높임(해요체 : -요)\', \'낮춤(해체 : -어, -지, -는가)\'이 있다. 그러나 서구화의 영향인지, 민주화의 반영인지 점점 \'합쇼체(하십시오체)\'와 \'하오체\'는 사라져가고 대신 반말인 \'해체\'와 그것의 높임형인 \'해요체\'가 넘쳐나고 있다.
4. 다음 문장에 들어갈 올바른 단어를 택하라.
(1) 이제 와서 (생각컨대, 생각건대), 그때가 정말 좋았었어.
(2) 집안이 (깨끗치, 깨끗지) 않다고 부끄러워 하고 있어.
(3) (요컨대, 요컨데) 피서법으로는 방콕행 비행기가 제일 좋다고 할 수 있다.
(4) 손에 (익숙치, 익숙지) 않은 일이라 쉽지가 않네요.
(5) (섭섭지, 섭섭치) 않게 여비도 주고 했지요.
(6) 발을 (따뜻이, 따뜻히) 해야 건강에 좋다.
(7) 남에 대한 외경심을 (솔직이, 솔직히) 토로할 줄 아는 태일을 보면서, 글은 바로
사람이라는 평범한 말에 승복하게 된다.
(8) 그런것을 (일일이, 일일히) 다 말해야 하는 것인가요?
(9) (일찌기, 일찍이) 비서대학에 희망을 품고 원서를 제출하였다.
(10) 숙고사 갑사치마를 장롱 속 (깊숙이, 깊숙히) 간직하였다.
5. 다음 문장들에서 사용된 ‘넘어, 너머, 너무’의 품사 및 단어 형성 과정을 밝히고 그와 같은 표기의 원칙이 무엇인가를 설명하라.
(1) 산을 넘어 날아간다.
기본형 : ‘넘다’의 어간 ‘넘’ + 활용어미 ‘-어’의 결합
같은 표기의 원칙 : 걸다, 널다, 넓다, 길다
(2) 산 너머에 있는 마을
한글맞춤법 제 19항 어간에 ‘-이’나 ‘-음 / -ㅁ ’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과 ‘-이’나 ‘-히’가 붙어서 부사로 된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붙임 어간에 ‘-이’나 ‘-음’ 이외의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다른 품사로 바뀐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1) 명사로 바뀐 것 : 귀머거리, 까마귀, 뜨더귀, 마중, 무덤, 주검
(3) 사람이 너무(부사) 많다.
한글맞춤법 제 19항 어간에 ‘-이’나 ‘-음 / -ㅁ ’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과 ‘-이’나 ‘-히’가 붙어서 부사로 된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붙임 어간에 ‘-이’나 ‘-음’ 이외의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다른 품사로 바뀐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2) 부사로 바뀐 것 : 도로, 거뭇거뭇, 뜨덤뜨덤, 비로소, 오긋오긋, 바투
6. 다음 문장들에서 틀린 표기를 찾아서 올바르게 고치고 이와 관련된 국어현상에 대해 설명하라.
(1) 로잔은 제네바 호수가에 있는 아름다운 도시다.
※ 호수가 → 호숫가
(2) 고령자나 만학도, 혹은 공직자, 어려운 가운데서 학업을 마친 사람, 뛰어난 논문을 완성한 사람 등등 얘기거리가 될 만한 졸업예정자를 찾고 있습니다.
※ 얘기거리 → 얘깃거리
(3) 2008년 광우병 수입 소 파동 당시 촛불시위를 배경으로 연두빛 소녀, 소년들의
감성적인 이야기를 담아냈다.
※ 연두빛 → 연둣빛
(4) 우리 인삿말에는 몸이 건강하고 마음이 편한지 안부를 전하고 묻는 “안녕하세요”라는
말을 쓴다.
→ 인삿말 → 인사말
(5) 단 하루이긴 하지만 예비신부를 위해 전시회에 출품 중이 싯가 6억원짜리 티아라(왕관)를 디자이너에게 부탁해 예비신부에게 씌워주는 이벤트도 함께 했다.
※ 싯가 → 시가
(6) 노르데그렌이 골프채를 들고 뒤따라와 우즈의 차 뒷쪽을 몇 차례 내리쳤다.
※ 뒷쪽 → 뒤쪽
(7) 팬들의 이런 지나친 관심에 사고를 우려한 소속사는 뒷풀이 장소인 식당문을 폐쇄하기도 했다.
※ 뒷풀이 → 뒤풀이
제30항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1.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고랫재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댓가지 뒷갈망 맷돌 머릿기름 모깃불 못자리 바닷가 뱃길 볏가리 부싯돌 선짓국 쇳조각 아랫집 우렁잇속 잇자국 잿더미 조갯살 찻집 쳇바퀴 킷값 핏대 햇볕 혓바늘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멧나물 아랫니 텃마당 아랫마을 뒷머리 잇몸 깻묵 냇물 빗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도리깻열 뒷윷 두렛일 뒷일 뒷입맛 베갯잇 욧잇 깻잎 나뭇잎 댓잎
2.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귓병 머릿방 뱃병 봇둑 사잣밥 샛강 아랫방 자릿세 전셋집 찻잔 찻종 촛국 콧병 탯줄 텃세 핏기 햇수 횟가루 횟배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 참 고 문 헌 ◆
이진호, <국어음운론 강의>, 삼경문화사, 2005
민현식, <국어 정서법 연구>, 1999
이희승 <국어표기법 연구>, 신구문화사, 1989
손홍규 <이상문학상 작품집>, 문학사상, 2010
윤평현 <국어 의미론>, 역락 도서출판, 2008
문화체육부, <국어언문규정집>,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88
  • 가격2,4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8.11.20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0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