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장영양과 비경구영양 TPN[total parenteral nutrition]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장영양과 비경구영양 TPN[total parenteral nutrition]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이 논문을 참고한 이유


본론

1. 경장영양이란
2. 경장영양의 종류
2-1 일반 병인식
2-2 경관급식
3. 비경구영양이란
3-1 비경구영양 용액의 구성성분
3-2 말초 비경구영양
3-3 비경구영양의 합병증
4. 병원 중환자의 경장 영양액 공급실태 및 영양상태 변화

결론
-느낀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 남자 34명(83%), 여자 7명(17%)이었다. 연령별 분포는 30세 미만이 1명(2%), 30-60세가 14명(34%), 60세 이상이 26명(63%)이었다(Table 1). 환자들의 진단별 분류는 Table 2와 같으며 신경계, 호흡계, 종양계 순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2. 경관급식 시행현황
경관 급식 시작 전 금식 기간은 평균 5일(1-19일)이었고, 경관 급식 시작 전 금식 기간이 3일 이상인 환자는 전체의 51%이었다. 경관 급식 기간에 따라 15일 미만이 42%, 15-30일이 29%, 31일 이상이 29%를 나타내었고 총 급식일수는 1192일, 평균 29일이었다. 투여 경로는 비 위강 관 급식(N asogastr ic tu be feedin g)으로 1일 6회 bolu s feedin g으로 시작하였으며, 급식 기간 중 투여 경로나 공급 방법을 변경한 환자는 15%였다.
3. 경관급식처방 및 실제공급 현황
경관급식 처방 및 공급현황은 Table 3에 나타내었다. 의사에 의한 처방 열량은 요구량의 평균 69.7%이었고, 실제 공급된 열량은 처방열량의 평균 86.6%이었다. 따라서 환자는 실제로 필요 열량의 평균 61.6%를 공급받은 것으로 산정 되었다. 영양 요구량의 90%이상을 공급받는 데 소요된 시간은 평균 14일(3-36일)이었고, 대상자중 56%는 종료시점까지 요구량을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경관 급식 3일내 1일 실제 공급된 양은 필요 열량의 44.6%이었다. 경관 급식 3일내 요구량의 90%이상 공급받은 환자는 전체 대상자의 5%이었다.
4. 경장영양액의 실제공급량에 따른 영양상태 변화
경관 급식동안 환자의 영양 요구량에 따른 공급량(%)과 영양상태 지표들간의 상관 관계를 알아본 결과는 Table 5에 나타내었다. 경관 급식동안 환자의 영양 요구량에 따른 급량(%)과 혈청 알부민의 변화, 체중의 변화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P<0.001)(Fig. 1,2). 영양 요구량에 따른 실제 공급 정도를 70% 기준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경관급식 공급 현황과 영양상태 변화를 알아보았다(Table 6). 1군(<70%)과 2군(≥70%)의 경관급식 전후 혈청 알부민 변화 비교 시 -0.23과 0.21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고 경관급식 전후 체중 변화 비교 시 -4.52와 0.12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P<0.001)(Fig. 3,4).
5. 경장영양액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요인
경관 급식 기간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은 위 잔여물 증가(high gastr ic residu alvolume), 구토(v omitin g), 위 장관 출혈(gastroin testin al bleed in g), 복부 팽만(abd omin al disten sion), 수술(su rgery)순 이었고, 전체 공급 열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설사(diarrhea), 위 장관 출혈(gastrointestin al bleedin g), 복부 팽만(abd omin al disten sion), 기도유지(airw ay man agement), 관 재삽입(tu berein sertion)순 이었다(Table 7). 경관급식 3일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요인으로는 위 잔여물 증가(high gastric resid u al volume), 설사(d iarrhea), 구토(vomitin g), 복부 팽만(abd omin al d isten sion)으로 위 장관 관련 부적응 증상이 주를 이루었다.
결론
이번 과제를 하면서 논문을 찾다보니 새로운 지식들은 많이 얻은 것 같다. 나중에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적절하게 적용하여 경장영양과 비경구영양을 책임지고 해낼 수 있는 간호사가 되고 싶다.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경장영양 [enteral nutrition, 經腸營養]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도서출판 여초)
[네이버 지식백과] 비경구영양법 [parenteral nutrition, 非經口榮養法, parenterale Ernahrung] (간호학대사전, 1996. 3. 1., 한국사전연구사)
병원 중환자의 경장 영양액 공급실태 및 영양상태 변화 = Degree of enteral tube feed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change in nutritional status 저자 : 박은경
http://blog.naver.com/hh8275?Redirect=Log&logNo=220151467661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12.03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23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