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초에서 한국춤과 주체(몸)의 관계 - 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세기 초에서 한국춤과 주체(몸)의 관계 - 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20세기 초, 한국춤과 그 배경
2. 전통과 근대
3. 전통춤의 창조: 기생 혹은 예술가
4. 한국춤과 주체(몸)의 관계

본문내용

를 벗고 춤을 권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내 조선후기에 들어오면서 성종이 ‘경국대전’을 제정하여 주자학이 국학으로 자리 잡으면서 자유로이 춤추는 몸은 비난받는 경직된 사회가 되었다. 조경아, 「춤추는 시대에서 춤추지 않는 시대로」, 한국음악사학회, 제6회 음악학술대회, 2006
춤이라 하는 것은 인간에 내재하고 있는 즐거움의 외부로의 표출이었다. 조선조에는 이러한 몸과 춤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고 경계의 대상으로 여겼다.
한편, 세종과 성종은 궁중 예악(禮樂)과 정재를 사실적 기록으로 정리하며 춤과 음악의 미세한 부분을 정형화 하였다. 이는 주자학적 사회질서 규범을 통해 신체적 행동을 통제하는 의식을 마련하였으며 이는 동시에 개인의 정서적 감정 또한 그에 걸맞게 정형화 시켜 제한하였다. 전근대적인 유가의 사회질서 속에서 결국 몸과 춤은 성리학적 질서의 유지와 왕실체제의 안녕을 위해 필요한 수단으로써 존재했던 것이다.
<참고문헌>
박상환, 「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도서출판 상, 2011
함인희, 「한국의 일상 문화와 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6
고승길, 성기숙, 「아시아춤의 근대화와 한국의 근대춤」, 민속원, 2005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8.12.11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32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