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정(精)] 한국(우리나라)의 정문화, 정의 개념과 특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인의 정(精)] 한국(우리나라)의 정문화, 정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인의 정

I. 정
1. 한국적 문화의 대표적 정서
2. 정의 다양한 표현

II. 정의 특성
1. 정의 속성
2. 정의 구성요건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들었는데, 인정이 많은 사람은 무엇보다도 남을 사랑하고 도와주며(애타성), 남의 어려움이나 감정, 처지에 대해 감정 공감과 관심(타인 관심성)을 보이는 특성을 지닌다.
그러나 중요한 사실은 이러한 특성만으로는 인정이 많은 사람으로 평가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서구적 합리성이나 기독교적 박애주의 및 정의감에 근거한 자선적 행동이나 애타적 관심은 인정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비록 그러한 감정, 관심, 행동은 그 표현형에서 다른 바 없으나, 한국적 '인정 심리'는 이러한 합리성과 당위성이 내재된 자선행위를 고마움의 차원이나 혹은 인위적인 인정의 차원으로 받아들여지기는 하나 내면적인 인정의 차원으로 전환시키지는 않는다.
그러한 자선행위와 고마움이 인간적인 개념인 인정으로 승화되기 위해서는 그 행위를 하는 사람의 인간성이 연약하고 우직하며, 실속 없이 착하고, 혹은 미련해야 한다는 특수성이 요구된다. 여기서는 이러한 범주의 특성을 '인간적 연약성'과 '우선성'의 범주로 수렴하였다. 어떻게 보면 이러한 연약성과 우선성이 소위 한국인이 말하는 '인간적'이라고 하는 말의 본체일지도 모르겠다. 중요한 사실은 인정은 합리적인 자선보다는 이러한 보다 인간적인, 즉 비합리적인 인간특성 속에서 발생하는 한국인의 특수한 사회심리현상이라는 점이다.
이것은 정관계의 정리와도 유사한 측면을 지닌다. 즉 한국인의 우리성이 정을 바탕으로 한 개념이라는 사실을 주시할 때, 한국인의 우리성은 곧, 합리적인 혹은 공식적 관계 속의 우리나 서구적 사태, 상황적 동질성에 기초한 우리가 아닌, 탈합리적, 인간적 관계 속에서 정을 바탕으로 한 개인 간의 인간지향적 연계단위(과업 지향적이 아닌)임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1.15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76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