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유아교육] 우리나라 생태유아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서술해 보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태유아교육] 우리나라 생태유아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서술해 보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생태유아교육의 개요
    1. 생태유아교육의 정의의 개념
    2. 생태유아교육과 유아생태교육의 구분
    3. 생태유아교육의 실천원리
    4. 생태유아교육의 교육방법

Ⅲ. 우리나라 생태유아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우리나라 생태유아교육의 현황
    2. 우리나라 생태유아교육의 문제점
    3. 우리나라 생태유아교육의 개선방안과 과제

Ⅳ. 결 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문적 개념이고 학술적 용어라는 미명 아래 연구자들끼리만 통용되는 “군사암호”같은 조작적 개념이나 용어를 별다른 부끄럼 없이 일상적인 것처럼 사용하고 있다. “비계설정(scafolding)”, “문해(literacy)”, “근접발달영역(ZPD, The Zone of Proximal Developement)” 등이 그 예이다. 언제까지 이런 식으로 유아교육이라는 학문을 유지하고 즐길 것인지 문제이다.
3. 우리나라 생태유아교육의 개선방안과 과제
1) 생태유아교육의 이론적 토대마련
생태유아교육의 뿌리가 튼튼해야 장차 줄기와 가지와 잎이 무성해져 튼실한 열매를 맺을 수 있다. 따라서 생태유아교육의 사회적문화적 뿌리, 사상적철학적 뿌리, 심리학적 뿌리, 신 과학적 뿌리 등을 넓고 깊게 찾아 그 결과들을 그물망으로 역어 나가야 한다. 우리나라와 동아시아는 물론 서양의 문화와 사상과 철학과 삶의 현실에서 그 지혜를 찾아야 한다.
바라건대 생태유아교육의 이론적 뿌리에 관한 연구는 우리의 “김치 맛”이 우러나는 그런 맛과 방향의 연구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우리조상들의 5천년 자녀양육교육의 지혜는 무궁하게 넓고 깊으며 우리 삶과 직접 맞닿아 있으므로 그 그윽한 수천 년의 김치 맛을 오늘에 되살려내면 우리 아이들에게는 물론 전 세계 모든 아이들의 살림 지혜가 될 것이다. 어려운 원서로 서구 이론을 이해하는데 골머리를 썩이는 것보다는 한글로 번역해 놓은 한국과 동양의 고전과 현대적 해설서에서 그 지혜를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이라 여긴다.
2) 생태유아교육을 위한 새로운 모델제시
생태유아교육의 확산을 위해서는 생태유치원과 생태어린이집의 시범적 모델이 제시되어야 한다. 생태유아교육을 모범적으로 실천하는 이상적인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델은 생태건축, 생태적 실내외 환경구성 및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등 겉과 속이 모두 생태적인 모습이어야 한다. 즉, “아이들의 살림집”이어야 한다. 이러한 시범적 모델은 시도별로 하나씩 만들어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시군구별로 하나씩 모델을 제시운영하는 방향으로 확산될 필요가 있다.
앞으로 교육인적자원부와 여성부의 관심과 반응이 주목되며, 광역시도 및 교육청에서도 추진해 볼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는 사업이다. 이미 기초 자치단체인 서울의 성동구청에서는 어린이집 아이들에게 유기 농산물 먹이기 지원 사업에 이어 생태건축으로 어린이집 아이들에게 유기농산물 먹이기 지원 사업에 이어 생태건축으로 어린이집을 신축하고 있으며, 전국의 몇 개 지자체에서도 생태어린이집 신축 및 운영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으므로 머지않아 가시적인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활성화
지금까지 10여종의 유아중심의 생태유아교육 실천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고 있으나 부모교육용 프로그램, 생태유아교사의 양성과 연수를 위한 교사교육용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는 것이 시급하게 추진해야 할 당면과제이다. 특히, 대학의 유아교육 관련학과나 보육교사교육 강좌가 다양하게 개설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관련 교과목의 대학 교재의 연구개발도 시급한 과제이다. “생태유아교육 개론”이나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운영”, “생태유아교사론”, “생태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생태유아교육 사상 및 철학” 등의 대학 교재 출판이 연이어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것은 정말 중요한 일임에 틀림없다.
여기에는 많은 교수들과 연구자들의 참여가 요망되며, 유아교육 관련 분야에서 다양하게 많은 교수와 연구자들의 동참을 호소한다. 이것은 개발 과 보급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 하긴 하나 다른 전달체계나 매체 등의 개발 및 보급 또한 증대해야 된다고 본다.
4) 생태유아교사의 연수체제 확립
생태유아교사 교육센터를 설립운영하거나 연수 프로그램 체제를 구축하여 체계적인 연수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몬테소리 프로그램, 발도르프 프로그램, 공도육아 프로그램 등 하나의 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자체적인 교사양성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듯이 생태유아교육이 현장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생태유아교사 양성이 필수적이다. 여건이 허락한다면, 생태유아교사의 양성과 연수,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 생태유아교사의 자격관리, 생태유아교육 전문가의 양성 등을 종합적으로 관장할 수 있는 가칭 “생태유아교사교육센터”를 설립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센터에는 “생태유아교육전문대학원”을 비롯한 시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생태농장, 생태유아교육연구소 등이 어우러지면 이상적인 모습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센터를 설립하는데 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므로 우선 생태유아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체계적 운영과 생태유아교사교육을 담당할 전문가의 양성을 위한 대안학교 형태의 “생태유아교육전문대학원”의 설립운영을 추진할 수 있다.
Ⅳ. 결 론
보다 많은 아이들이 신명나는 아이로 자라고, 이들이 어른이 되어 신명나는 세상을 펼쳐 나가게 하기 위해서는 생태유아교육의 학문으로서의 탄탄한 뿌리를 내리는 것과 유아교육현장에 널리 보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생태유아교육 분야에서는 해야 할 것이 많다. 또한 생태유아공동체와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광주생태유아공동체 및 대구생태유아협의회에서도 아이살림어린이집 아이들에게 유기농산물을 먹이는 운동을 전국 곳곳에서 전개하고 있는 것 역시 생태유아교육의 중요한 실천 사항이다. 이 운동은 아이들의 소득수준에 상관없이 중앙정부나 지방정부의 지원을 받아 모든 영유아들이 유기농산물을 먹도록 함으로써 몸과 마음을 살리고 우리 농촌을 살리는 생태유아공동체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Ⅴ. 참고문헌
1. 임재택(2018), 생태유아교육의 사상 (아이를 주체적으로 생명인으로 키우는 생태유아교육), 공동체
2. 임재택(2018), 생태유아교육의 역사 (기본 유아교육 보육 혁신의 발자취), 공동체
3. 장인영(2016), 유아생태교육의 이론과 실제 (누리과정에 따른), 창지사
4. 하정연ㆍ신주연(2011), 생태유아교육, 꼬망세
5. 임재택 저(2008), 생태유아교육개론, 양서원
6. 생태유아교육연구모임 http://www.ecokid.or.kr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2.02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89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