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김만중의 삶을 통해 느끼는 구운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문학사] 김만중의 삶을 통해 느끼는 구운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 김만중의 생애
- 작품세계
- 대표작<구운몽>
-구운몽 내용
-문학사적의의

3. 결론

본문내용

입각한 세속적인 부귀영화를 부러워하였다.
(나) 꿈(사유) 속에서 양처사의 외아들 소유로 태어나 여자와 부와 권력으로 충만 된 부귀영화를 마음껏 누리다가, 인생의 무상함을 느껴 불법에 귀의하고자 했다.
(다) 꿈(사유) 속에서 깨어난 성진은 부귀영화와 인생이 허무한 것임을 깨닫고 다시 불도에 정진, 해탈의 경지에 이르러 극락세계로 갔다.
<구운몽>은 불제자 성진이 양소유를 거쳐 다시 성진으로 돌아오면서 겪는 사유의 여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우리가 유의해야 할 점은 (가)의 성진과 (나)의 양소유, (다)의 성진은 동일자 이면서 개별자라는 사실이다. 특히 (가)의 성진은 (나)의 양소유와 (다)의 성진의 성격이 혼란스럽게 결합되어 있는 인물이며, (다)의 성진은 (나)의 양소유를 매개로 (가)의 혼란스러움을 지양하여 성립되는 인물이라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나)의 양소유의 삶은 바로 (가)의 성진의 꿈이 꿈의 형식으로 실현될 것이다. 양소유의 삶은 (가)의 성진이 꿈꾸던 세속적 욕구가 그대로 외화된 것이다. 여덟 명의 다양한 여인들과 맺는 다채로운 결연의 방식, 과거에 급제하고 외적을 물리치며 공명을 획득하는 상승의 방식이 씨줄과 날줄이 되어 얽혀지는 양소유의 삶은 유가적 삶의 이상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그가 이룩한 유가적 성취란 거의 고난을 동반하지 않는 것 이어서 그 성취의 화려함이 두드러지게 돋보이는 것이기도 하면서, 그가 이룩한 현실 세계의 질서-황제를 중심으로 한 국가적 질서, 가부장인 자신을 순응하는 유가적 조화의 극치이기도 하다.
이렇듯, (가)의 성진으로서 꿈꾸던 욕구의 세계가 유가적 형식으로 완성된 그 순간에 양소유는 (가)의 성진이 그랬던 것처럼 욕구 그 자체의 덧없을 회의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구운몽>은 결국 유가적 삶의 방식이 궁극적인 삶의 형식일 수 없다는 회의와 부정을 드러내고 있었으며, 그것은 유가적 이념에 의해 의지되던 중세적 질서의 동요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렇듯 김만중의 50세 시절, 가장 복잡한 사회 세계와 죽음이 머지않았던 김만중의 삶이 담겨 있음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아마 <구운몽>의 주인공인 양소유와 성진은 부귀영화를 맘껏 누리고 또 꿈에서 그것에 대한 허무함, 인생무상을 느끼며 자기 자신을 위로하고 달래던 것은 아닌지 김만중 그의 삶을 조심스럽게 추측해 본다.
3. 결론
끝으로, <구운몽>의 문학사적 가치는 (가)의 성진에게 심리적 동요를 불러일으킨 (나)의 양소유의 유가적 삶에 대한 회의와 부정이 작품의 인식론적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는데 있다.
유가적 삶에 대한 회의와 부정이 범박한 불교사상 일반과 관련되는 것이든, 아니면 고도의 사유 체계인 공사상과 관련된 것이든, 아니면 단지 생의 유한함을 초월하고자 하는 유가적 욕구의 연장이든 간에, <구운몽>은 (나)의 양소유의 삶을 부정되고 회의되어야 할 삶의 형식으로 그려내고 있다는 것이다.
노론 가문의 일원이면서 중세적 질서를 바꿔보자 분투했던 김만중에 의해 세속적 욕구로 가득한 유기적 삶이 회의되고 부정되는 소설이 창작될 수 있었던 것은 김만중의 사상 속에서 비판적 지식인으로서의 진전된 의식이 내면 속 깊숙이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싶다. 김만중이 어떻게 고뇌하고 상상하여 창작하였든 간에 그가 창작한 <구운몽>은 결국 유가적 삶의 방식이 궁극적인 삶의 형식일 수 없다는 인생무상과 회의와 부정을 드러내고 있었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김만중 그의 생각은 결국 그의 소설이라고 말 할 수 있겠다. 김만중의 견해는 국문문학의 독자적 가치에 대한 긍정에만 머무르지 않고 그 독자적 가치가 중국문학과 대등한 것이라는 데까지 나아갔다. 사람의 마음이 입에서 나와 말이 되고 말에 절주가 있는 것이 노래(문학)가 된다고 할 때, 그 노래의 가치란 중국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방의 어느 곳이든 같다고 했다.
많은 고전작가들 중에서도 김만중을 연구한 이유는 김만중이 저와 같은 광산 김씨라는 단순한 이유에서의 시작이었지만 자료를 찾다보니 김만중의 삶에 대해서 더 알고 싶었고, 구운몽이라는 작품 또한 우리가 어릴 적부터 많이 배우던 작품이기에 더욱 흥미가 가서 연구하게 된 것 같습니다.
<참고 문헌>
-구운몽 원전의 연구 . 보고사. 2010. 정규복
-고전소설사의 구도와 시각 . 소명출판 . 정출헌
-한국 고전문학 작가론 . 민족문화연구소
-김만주의 연구. 국학자료원. 1993. 김열규.신동욱편
-고전문학 연구 제 12집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2.03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14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