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계 소설론] - 한문소설 서옥기 창작에 미친 판소리의 영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판소리계 소설론] - 한문소설 서옥기 창작에 미친 판소리의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서사전개와 부분의 독자성
Ⅲ. 다층적 의미 구현 양상
1)신분제 모순
2)부세제도의 폐해
3)그 밖의 문제점
Ⅳ. 부분의 독자성과 주제의 양면성
Ⅴ. 맺음말

본문내용

자신을 먹이고 길러주는 주인을 배반하는 고양이와 닭을 통해 신의가 사라진 말세적 세태를 풍자하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18세기 후반 들어 사회경제적 여건이 달라지면서 부민층을 중심으로 신분체재가 재편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노비들이 달아나 부를 축적하여 양반행세를 하거나 잡으러 온 옛 주인을 박대하고 심지어 죽이기까지 하는 일들이 나타났다. 양반의 입장에서 전통적인 주종관계를 벗어난 이런 현상들이 말세적이라 느껴졌을 법하다. ⑤는 족제비가 여러 감언이설로 여러 아내를 거느리고 자기가 겨우내 먹을 양식을 준비하도록 시킨 후에 한 아내만 두고 다 내쫓아 버린다는 내용이다. 이것 역시 조선후기 화폐경제의 발달로 인한 상공업의 발달, 그와 궤를 같이하여 나타난 퇴폐적이고 향략적인 소비문화, 윤리의식의 붕괴가 만연하는 시정세태를 반영하고 있다. 다른 시각에서 토지를 잃고 도시로 흘러들어가 임금노동자가 된 농민을 착취하는 고용주의 횡포를 고발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⑥은 겉모습이 아름다워 의혹을 받지 않는 비취와 원앙을 들어 실력없는 세도가의 자손이 문벌에 힘입어 벼슬을 하거나 사익을 추구하는 말류적 정치상황을 풍자하고 있다.
이상으로 서옥기에서 구현된 다층적인 의미를 크게 3가지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그것은 고착화된 신분제의 모순, 조선후기의 부세제도의 폐해, 그리고 향락적, 퇴폐적인 시정세태와 전통적 가치관의 붕괴, 불합리한 권력구조에 대한 풍자 등으로 이해할 수 있다.
Ⅳ. 부분의 독자성과 주제의 양면성
Ⅱ장에서는 판소리의 고유한 특징 중 하나인 부분의 독자성이 서옥기의 서사 구조에 그대로 나타나고 있음을 소단락의 구분을 통해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논의의 방향을 달리하여 서옥기가 다층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이 작품의 주제는 대단락 구분에서 쉽게 얻어 질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 그것은 국록을 축내는 탐관오리에 대한 풍자 또는 자신의 책임을 남에게 전가하는 비굴한 행동을 풍자한 것이라 볼 수 있다. 탐관오리나 간사한 인물의 전형인 쥐가 종국에는 비참한 최후를 맞는 것으로 볼 때 이 작품은 권선징악이라는 진부한 교훈을 담고 있는 듯하다. 이것이 서옥기가 보여주는 표면적인 주제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소단락의 분석을 통해 대단락의 단순한 부연이나 설명을 넘어서는 보다 다양한 의미를 소단락이 구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소단락에 등장하는 짐승은 무려 84마리로 이들이 모두 대단락의 주제를 향해 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제각기 다양한 방식(전고, 희어, 속담)을 이용해서 갖가지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것은 Ⅱ장에서 밝힌 소단락의 독자성과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다. 각각의 소단락은 형식상 서로 인과관계나 순차적인 관련성은 없지만 소단락 하나하나는 신분제 모순, 사회경제적 폐단 등의 사회비판적 주제를 예리하고 구체적인 시각에서 시종일관 말하고 있다. 이것이 소단락이 제시하는 이면적 주제이다.
각각의 소단락들은 그 다층적 의미를 구현하면서도 조선후기 사회의 병폐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는 한데 묶을 수 있다. 다시말해 서옥기의 대단락에서 도출되는 표면적인 주제는 교훈성을 띤 관념적이고 전통적인 주제인 반면, 대단락을 구성하는 많은 소단락은 비판적이고 현실적인 작가의식을 드러냄으로써 봉건사회 해체기의 혼란상을 여러 시각에서 제시하는 이면적 주제를 구현하고 있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주제의 양면성은 대부분의 판소리계 소설이 보여주는 특징이다. 표면적 주제가 양반층의 관념적인 교훈성을 제시하는데 반해 이면적 주제는 하층민의 경험에 의한 새로운 현실을 반영한다. 표면적 주제를 통해서는 상층의 관념적 인과론을 드러내고 이면적 주제로는 민중의 경험적 갈등론을 제시하여 기존 사회의 불평등과 허위를 비판하는 것이 판소리의 중심사상이다. 조동일· 김흥규 편, 판소리의 이해 (창작과 비평사, 1978), 26면~28면
관념적 인과론이란 전통적 윤리의식이고, 경험적 갈등론이란 사회비판의식이라 할 수 있다. 서옥기의 작자는 이러한 판소리의 주제 구현 방식을 충분히 섭취하여 우화소설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다층적인 주제를 담은 작품을 창작할 수 있었다.
Ⅴ. 맺음말
서옥기는 조선후기 사회를 우의적인 수법으로 비판적으로 그려낸 작품이다. 그런데 여타의 우화소설과는 달리 서옥기는 당시 하층으로부터 왕실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유행했던 판소리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서사 구조의 측면에서는 부분의 독자성을, 주제 구현에 있어서는 주제의 양면성을 빌려왔다. 이것을 밝히기 위해 작품을 소단락으로 구분하고 대단락의 주제를 제시하였다. 소단락 간에는 인과관계나 순차관계가 성립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존재한다. 이것을 부분의 독자성이라 하였다. 또 전통적 윤리의식인 권선징악의 교훈성을 보이는 대단락의 주제를 표면적 주제라 하고, 각 소단락이 제시하는 다양한 의미가 조선후기 사회비판이라는 하나의 주제로 묶이는 것을 이면적 주제라 하였다. 그리하여 이러한 주제의 양면성이 판소리의 그것과 유사함을 밝혔다. 서옥기의 작자는 판소리의 특징을 충분히 흡수하고 소설 창작에 적용시킴으로써 신분제 모순, 환곡으로 대표되는 부세정책의 폐단, 전통적 가치의 붕괴 등 조선후기 사회에 누적된 제반 문제점을 보다 효과적으로 작품 속에 담아 낼 수 있었다.
▣ 참고논저
김태준 저·박희병 교주, 증보조선소설사, (한길사, 1990)
리철화 역, 림제·권필작품집, (문예출판사, 1990)
김기동편, 필사본 고전소설전집2, (아세아문화사, 1980)
김광순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 전집23, (경인문화사, 1994)
조동일· 김흥규 편, 판소리의 이해, (창작과 비평사, 1978)
판소리학회편, 판소리의 세계, (문학과 지성사, 2000)
이헌홍, 한국송사소설연구, 삼지원, 1997
정학성, 우화소설 서옥기의 소설사적 가치, 한국고전산문연구, (동화출판사, 1981)
정학성, 임백호문학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85
김재환, 한국동물우화소설의 연구, 동아대 박사논문, 1988
장시광, 서옥기의 창작방식 연구, 동양고전연구 12, 동양고전학회, 1999
장시광, 서옥기의 작가의식 연구, 관악어문연구24, 1999
  • 가격1,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9.02.05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28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