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의 개념 역할 구축 기대효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의 개념 역할 구축 기대효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

I.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의 개념

II.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의 역할
1. 네트워크 허브 역할
2.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3. 중앙부처 서비스 조정
4. 민관협력 네트워크 구축

III.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축

IV.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의 기대효과

* 참고문헌

본문내용

2010년 1월 4일 완료하여 복지서비스에 대한 통합관리 및 사후관리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특히 개인별 서비스 파악이 가능한 수혜자 중심의 시스템 구조로 개편을 도모하였다.
IV.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의 기대효과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를 주민지원생활서비스 지원체계로 개편하면서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제고해 볼 수 있다.
첫째, 과거에는 주민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개별 부서마다 일일이 방문하여야 했지만, 금번 개편으로 시 군 구 주민생활지원부서 또는 읍면동사무소를 한 번만 방문하면 종합적인 상담 정보제공이 가능하여 주민이 편리하게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둘째, 찾아가는 복지행정서비스의 제공이다. 읍 면 동의 사회복지 담당공무원의 담당구역제 운영으로 복지대상 가구에 대한 주기적 방문과 위기가구의 조기발굴이 가능해졌다.
셋째, 복지행정의 전문화 집중화에 의한 효율성 향상이다. 사회복지통합관리망에 의한 자동정보연계를 바탕으로 분산되어 있던 업무를 통합관리함으로써 낭비와 비효율을 제거하고 인력 활용 측면에서도 효율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제공, 관련 기관 의뢰 연결기능 수행, 주민생활지원 관련 충분한 상담, 현장방문 등을 통해 정책에 대한 국민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섯째, 부서별 유사정책으로 인한 혼선과 기관 간 중복서비스를 없앰으로써 자원 활용의 효율성이 증대될 전망이다.
마지막으로 민관협력의 기반 강화이다. 사회복지시설 정보시스템에 의한 민간서비스 정보연계 및 지역 내 자원총량관리가 용이해졌으며, 이와 함께 개인별 가구별 서비스 이력관리를 통해 민간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민관의 네트워크 기반강화가 기대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10.14
  • 저작시기201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50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