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론] 교재 1장 3절 현대가족의 성격에서 제시된 가족 변화 동향 ①가족의 보호기능 약화 ②가족규모의 축소 ③가족주기상의 변화 ④기혼여성 사회활동 ⑤이혼율 ⑥다양한 가족유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복지론] 교재 1장 3절 현대가족의 성격에서 제시된 가족 변화 동향 ①가족의 보호기능 약화 ②가족규모의 축소 ③가족주기상의 변화 ④기혼여성 사회활동 ⑤이혼율 ⑥다양한 가족유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족의 보호기능 약화
1) 자녀양육에 대한 태도 변화
2) 노부모 부양 태도 변화
2. 가족규모의 축소
1) 가구원수별 가구구성과 평균 가구원수
3. 가족주기상의 변화
1) 가족주기 각 단계의 시작 및 종결당시 기혼여성의 평균연령
2) 가족주기 중 부부만의 기간, 자녀양육기간 및 여자 노인만의 기간
4. 기혼여성의 사회활동 참여 증가
1) 맞벌이 가구 현황
2) 혼인상태별·성별 고용동향
3) 여성의 취업에 대한 인식
4) 일과 가정생활 우선도
5) 기혼여성의 사회활동 참여 증가의 결과
5. 이혼율 변동
1) 이혼건수, 조이혼율 및 유배우 이혼율
6. 다양한 가족유형의 증가
1) 가족의 형태별 분포
2) 다문화가족 추이
3) 다양한 가족구성에 대한 수용도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정책적 과제가 됨 홍승아,최인희,최진희,유은경(2016)「가족형태 다양성 논의를 위한 사회적 기구 운영방안 연구」
③ 1인가구 추이
1인가구 증가추세를 청년층, 중년층, 노년층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모든 연령층에서 1인가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경혜(2018)「한국의 사회동향 2018」통계청
④ 전망 및 향후 정책방향
부부와 양친과 자녀로 구성된 직계가족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가 예상되는 반면 가구 분화와 더불어 핵가족 중 부부가족의 비중은 계속 늘어날 전망이며 이에 따라 가족의 형태별 분포도 지속적으로 변화할 전망임
부부와 자녀 및 한부모 가족으로 이루어진 핵가족 비중 증가로 가족 내 돌봄기능의 약화가 예상되며 이에 따른 가족 내 돌봄기능을 보완하는 가족정책 마련 필요하고, 또한 다양한 가족을 지원하는 정책 필요하다. e-나라지표 홈페이지
< 가족의 형태별 분포 > (단위 : 천가구, %)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혈연가구수
5,576
6,367
7,470
8,751
10,167
11,133
11,928
12,490
12,995
13,694
핵가족
(%)
부부
5.4
5
6.4
7.8
9.3
12.6
14.8
18
20.6
21.8
부부와 미혼자녀
55.5
55.6
56.5
57.8
58
58.6
57.8
53.7
49.4
44.9
편부모와 미혼자녀
10.6
10.1
10
9.7
8.7
8.6
9.4
11
12.3
15
직계가족(%)
부부와 양(편)친
1.4
0.5
0.6
0.8
0.9
1.1
1.2
1.2
1.2
1.1
부부와 양(편)친과 자녀
17.4
10.9
10.4
9.9
9.3
8
6.8
5.7
5
4.2
기타가족(%)
9.7
17.9
16.1
14
13.8
11.2
10.1
10.4
11.6
13
(자료: 통계청(2015)「인구주택총조사」)
2) 다문화가족 추이
다문화가족수는 2007년 328,000명에서 2015년 818,000명으로 증가하였고, 전체 혼인건수 중 다문화가족 결혼의 비중은 2008년 11.2%에서 2010년까지 전체 혼인 중 10%를 유지하다 최근 들어 8.0%수준(2014년)으로 떨어졌음. 다문화가족의 출생자녀수도 2008년 2.9%에서 2014년 4.9%로 증가하였음. 홍승아,최인희,최진희,유은경(2016)「가족형태 다양성 논의를 위한 사회적 기구 운영방안 연구」
3) 다양한 가족구성에 대한 수용도
- 가족가치관에 있어서도 결혼, 이혼, 재혼, 국제결혼, 동거 등의 문제에 있어서 사회적 수용도가 변화하고 있음. 특히 20대와 30대 젊은층에서 수용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향후 다양한 가족구성에 대한 변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바 다양한 가족형태를 포괄하는 포용적 가족관 형성과 사회문화 조성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임 홍승아,최인희,최진희,유은경(2016)「가족형태 다양성 논의를 위한 사회적 기구 운영방안 연구」
< 다양한 가족구성에 대한 수용도 >
(자료: 홍승아,최인희,최진희,유은경(2016)「가족형태 다양성 논의를 위한 사회적 기구 운영방안 연구」)
Ⅲ. 결론
현대 사회를 특정 짓는 산업화와 도시화는 가족구조의 변화를 가져왔다. 가족의 구조는 대가족 형태에서 핵가족 형태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가족의 구조뿐 아니라 가족의 기능, 수, 역할 그리고 가치관에 있어서도 변화를 초래하였다.
첫째, 가족의 보호기능 약화는 자녀 양육 태도의 약화와 노부모 부양 태도의 약화로 나타난다. 둘째, 가족규모의 축소는 출산율 저하, 핵가족화 및 1인가구 증가 등으로 설명된다. 최근 평균 가구원수 감소에 1인가구의 증가가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가족주기상의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족형성기와 가족축소기는 늦어지는 반면, 가족확대기는 단축되며, 가족해체기는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특성을 보인다. 또한 가족생활 주기의 변화로 부부 중심의 배우자 선정, 적은 수의 출산 등으로 부부만의 생활주기 기간과 노년기의 기간이 길어지고 있다. 넷째, 기혼여성의 사회활동 참여 증가하고 있다. 여성의 취업에 대한 인식조사를 살펴보면 여성 취업에 긍정적인 사람 중에서 취업 시기에 있어서 가정일과 관계없이 생애 전반에 걸쳐 일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6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이혼율 변동을 살펴보면, 20세기 후반 이후 평생직장의 개념이 무너지면서 많은 부부들이 경제적 불안에 시달리게 되었고 이혼을 불행한 결혼의 해결방법으로 여기게 되면서 이혼이 크게 늘었다. 여섯째, 다양한 가족유형의 증가하고 있다. 기타가족이 증가하고 있고, 직계가족 비율은 감소하고 있다. 재혼가족과 1인가구는 증가하고 있다. 향후 다양한 가족형태를 포괄하는 포용적 가족관 형성과 사회문화 조성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가족의 의미, 형태, 가치관, 기능 등은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지만, 가족이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중요한 가치를 갖는 집단이라는 점은 변함이 없다.
이같이 가족의 형태나 기능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서 변천해 왔지만, 인간의 기본적인 생물학적 욕구와 정신적, 도덕적 가치에 대한 본질적인 욕구의 충족은 변함없이 가족의 과제로 남아있다. 가족은 1차적 집단이며 사회를 유지시켜주는 기본적인 공동체로서 가족이 건강해야 사회의 건강과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자료
김유경(2014)「가족변화양상과 정책함의」한국보건사회연구원
안효을(2004)「현대가정의 회복을 위한 목회상담 연구」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통계청(2015)「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2019)「2019 일·가정 양립 지표」
통계청(2020)「2019년 혼인이혼통계」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2)「2012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한경혜(2018)「한국의 사회동향 2018」통계개발원
한경혜(2019)「한국의 사회동향 2019」통계개발원
홍승아,최인희,최진희,유은경(2016)「가족형태 다양성 논의를 위한 사회적 기구 운영방안 연구」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인 \"자식 많이 낳고 싶지만 양육에 부담\", 한국일보, 2015.07.08.
  • 가격4,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20.05.14
  • 저작시기2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08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